일본 초교 90% 이상 수영장 보유… 간이시설·예외풀 등 검토 필요
교육과정·평가 방법 개발 시급

수영 교육. 사진=연합
수영 교육. 사진=연합

 

생존수영 교육이 도입된 지 4년이 지났으나 여전히 시설·강사 부족 등에 몸살을 앓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학교 내 시설을 만들어 활용하고, 궁극적으로는 교사가 학생을 가르치는 방안을 고안해야 한다고 말한다.

특히 오는 2020년까지 초등학교 전학년을 대상으로 교육을 확대·운영할 것을 대비해 커리큘럼 및 평가 방식에도 변화를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미혜 인하대 체육교육과 교수는 30일 중부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해외의 경우 수영장들이 손해를 조금 보더라도 학생들 생존수영 교육을 위해 장소를 내주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자체들이 적극적으로 나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면서 “그러나 이것도 한계가 있는 만큼 가능하다면 우리도 일본처럼 학교에 수영장을 짓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일본의 공립 초·중·고등학교 60% 이상은 수영장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다. 초등학교는 90% 이상이 수영장을 갖췄다.

조 교수는 이어 “당장 학교에 수영장을 세울 수는 없으니 간이수영장, 야외풀 등을 검토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다. 실제 간이수영장을 시범 운영한 학교들이 있는데 운영비 면에서도 부담되지 않는 수준”이라면서 “학생들이 우선 교육받을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강사 문제와 관련해서는 궁극적으로 교사들이 학생들 생존수영을 가르치는 방향으로 교육이 바뀌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전 학년에 걸쳐 수영 교육이 진행되는 일본의 경우 담임교사가 직접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양종현 인천대 체육교육과 교수는 “생존수영 교육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생존수영 교육을 받은 초등교사와 강사의 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실제 현장에서는 임장지도를 하지만 생존수영을 배우지 못한 초등교사가 많으며, 평소 경영만을 가르치다가 생존수영을 처음 접하는 강사들도 많다”면서 “교대 교육과정에 생존수영 수업을 필수로 지정해 앞으로 모든 초등학교 교사들이 생존수영 지도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학생들을 직접 지도하는 강사들의 생존수영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관련된 연수 또는 자격증 제도도 마련돼야 한다. 이렇게 지도자에 대한 생존수영 교육이 선행돼야 학생들에게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생존수영 수업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생존수영 교육 후 평가는 꼭 이뤄져야 하며, 교육 대상 확대에 따른 교육과정도 다양하게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도 나왔다.

조 교수는 “평가는 꼭 진행해야 한다. 경쟁이 걱정된다면 성적을 매기지 않고 일정 수준 도달한 학생에게 배지를 준다거나 인증서를 주는 등 방법은 여러 가지”라면서 “이를 통해 학생들이 전국 어디서든 자기 수준에 맞는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해줄 필요가 있다. 독일처럼 수영 인증제를 통해 학생을 평가하는 방안도 참고할만하다”고 말했다.

현재 독일은 총 4단계로 수영 능력 수준을 나눠 청소년들이 각자 단계에 맞게 자격증을 획득하도록 하고 있다.

문영재 수원여대 레저스포츠학과 겸임교수는 “생존수영 교육 후 평가를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성적을 매기자는 차원이 아닌 학생들이 평가를 통해 생존수영 교육을 지금보다 더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하자는 의미”라면서 “이를 통해 강사들도 지금 자신들이 아는 영법교육으로 생존수영 교육시간을 보내지 않고 제대로 된 교육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생존수영 교육 확대와 관련 “발달상황에 맞춰 교육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면서 “또 지금처럼 수영장에서만의 교육이 아닌 바다, 강 등 현장 상황에 맞게 세분화하고 전문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변근아기자/gaga99@joongboo.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