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경기가 행정구역으로 지명이 생긴 지 1천년이 됐다. 오래됐다. 알려졌다시피 이러한 경기는 고려 현종이 1018년에 행정구역으로 설치하기 전까지 왕경, 즉 왕이 있는 수도·서울의 주변 지역이라는 생각으로 존재 해 왔다. 그래서 올해 경기도는 2018년을 ‘경기 천년의 해’로 지정했다. 어차피 축제의 달에 그냥 지나는 행사정도가 아니다. 경기문화재단과 함께 도내 곳곳에서 문화·예술 축제를 진행하고 있는 이유다. 이런 경기는 사실상 우리 지도상 다시말해 한반도 중심에 위치해 있다. 그래서인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고 교통의 중심이기도 하다. 고려사 지리지의 현종 9년 기사에 등장한 지명인 경기라는 명칭이 처음 등장한 것은 고려 현종 9년인 1018년 고려사 지리지에서로 보인다.

그 사이 적지않은 굴곡을 안고 있었다. 지리서에서처럼 그후 현종은 전국을 개성부·경기, 5도와 양계로 나누고 그 아래 경, 도호부, 목 등을 두었다. 이전에 경기는 관념으로 존재했을 정도이고 그러니까 현종이 처음으로 경기를 제도화해 행정구역으로 만들었다는 얘기다. 물론 실 경기라는 행정구역이 설치되기 전부터 사람들은 경기라는 단어를 말했다고는 하지만 그 경기는 서울을 중심으로 사방 일정 거리 이내라는 뜻 정도로 이해됐다는 설이 타당적으로 들리고 있다. 거슬러 올라가 경기의 변천을 살펴보자면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로 되짚어 나가야 한다. 다시말해 고려 현종부터 이어진 우리나라의 경기 역사는 경기는 국왕을 중심으로 하는 왕실과 중앙정부의 시책을 우선 시행해 유교정치의 이념인 민본 정치를 실현하는 장소였던 셈이다.

지금처럼 사람들이 몰리던 때가 고려 조선시대에도 있었다는 얘기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가깝게 조선시대 생활 모습이 담긴 단원 김홍도의 그림을 보면 이해가 쉽다. 점심, 행상의 소재처럼 구름처럼 몰려들었다. 지금 경기도 인구는 서울보다도 많은 1천280여만명으로 집계된다. 전국에서 최다 인구 밀집지역이라는 얘기로 이미 경기도는 농촌에서 산업화를 거쳐 도시로 몰리고 있다. 문헌으로 돌아가면 당시 고려 인구 약 250만 정도였지만 경기에 살았던 인구는 80만명으로 추산되면서 마치 지금의 경기처럼 인구의 4분의 1이 경기에 몰린 것으로 보인다. 짐작하다시피 사람이 모이는 곳은 세금이 있게 마련이다. 조선 후기 때만 해도 경기 인구는 세금과 노역을 제공하는 인구가 67만명을 웃돌고 있었다.

그 중심에는 여성과 어린아이, 노인 등이 예외인 탓으로 총인구 약 1천만명 가운데 200만명가량이 경기에 거주했을 것이 분명해 보인다. 당연한 얘기같지만 지금의 서울처럼 당시 한양 주변이 편의시설이나 먹을거리 등이 다른 지방보다 풍부해 경기지역에 많은 인구가 살아온 것이다. 물론 그 시작은 농업이었지만 위치적인 특수성으로 왕릉 조성과 수리를 도맡는 직업도 있었고 지금처럼 고위 관료의 별장도 다른 곳보다 많아 다른 도의 백성들보다 조세와 부역 부담이 컸을 얘기도 들리고 있다. 경기제도를 시행한 지 1천년이 된 것을 기념하기 위한 여러 문화행사가 많은 것도 이런 맥락으로 보인다. 풍성한 행사도 그러하지만 경기인 마음 한 구석의 자부심과 긍지를 잃지 않아야 하는 것도 같은 이유다.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