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가 무리한 자원외교로 7천500억원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 막대한 손실을 입힌 장본인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파주을)이 16일 한전 국정감사에서 “이명박(MB)정부의 자원외교는 자원3사뿐 아니라 한전에도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며 “막대한 국부를 유출시킨 장본인에게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전이 앞서 제출한 자료에는 2007년부터 현재까지 해외자원개발에 1조4천233억 원을 투자해 투자대비 3% 수준인 479억 원의 수익을 얻는데 그쳤다.

한전은 MB정부시절 정부의 해외자원개발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해외 유연탄과 우라늄 광산에 대해 공격적으로 투자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투자 과정에서 광산 가치를 뻥튀기 하는 등의 문제가 밝혀져 부실하게 사업을 추진했다는 지적이 계속됐다.

2016년 12월 정부가 발표한 에너지 공기업·공공기관 기능 조정 계획에 따라 한전은 해외자원개발 사업을 모두 접었다. 이후 현재까지 자회사인 발전5사와 한수원에 관련 지분을 대부분 매각했고, 남아있는 호주 바이롱 광산 지분은 향후 순차적으로 매각할 예정이다.

2016년 12월 한전은 호주와 인니에 위치한 5개 유연탄 광산에 대한 지분을 발전5사에게 약 4천900억 원에 매각했다. 결과적으로 총 1조1천610억 원을 투자해 448억 원의 수익을 남겼다.

캐나다와 니제르에 위치한 5개의 우라늄 광산 사업은 2천623억 원이 투자됐지만 수익은 31억 원에 그쳤고, 한국수력원자력에 1천237억 원에 매각됐다.

투자액에서 배당수익과 매각액을 제외하면 한전은 약 7천500억원의 손실을 입은 셈이다. 특히 51억 원을 투자한 캐나다의 크리이스트 사업의 경우 수익이 전혀 없어 현지 업체에 무상으로 지분을 넘겼고, 최근 한전은 캐나다 현지 법인까지 철수했다.

한편 한전은 MB정부시절 출자한 ‘자원개발펀드’에서도 손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 전신인 지식경제부로부터 펀드에 협조해달라는 공문을 받고 155억 원을 출자했으나 2018년 8월 기준 펀드 손실금액이 133억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라다솜기자/radasom@joongboo.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