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도 농가 연소득은 4천256만3천 원으로 전국 2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농가 연소득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 지역(5천292만2천 원)으로 농협이 추진 중인 ‘2020년 내 농가소득 5천만 원 달성’ 사업을 가장 먼저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오영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등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농가 평균 연소득은 3천823만9천 원이다.

지역별로 제주, 경기에 이어 전남(3천966만 원), 충북(3천828만8천 원), 강원(3천727만5천 원) 지역 등이 상위를 차지했다.

2위 경기도의 전년대비 상승률은 3.9%로 제주(15.4%), 전남(13.3%), 경남(7.3%)에 이은 4위에 그쳤다.

이에 도내 농가들이 연소득 5천만 원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2020년까지 향후 3년간 6% 이상의 소득 상승이 요구된다.

하지만 매년 농업소득이 감소하고 농외소득이 증가하는 구조여서 불가능한 목표라는 게 오 의원의 지적이다.

실제 최근 5년간 전국 평균 농가소득 중 순수 영농활동으로 창출되는 농업소득은 25% 안팎이다.

체험농장, 민박, 농지임대료, 타 직장 등으로 올리는 농외소득은 절반 정도로 농업소득 간 격차가 줄지 않는 실정이다.

도 역시 최근 5년간 농가소득 대비 농업소득 비중이 20%를 넘기지 못하고 있지만 농외소득은 54~60%를 차지, 매년 40% 안팎의 격차를 보이고 있다.

오 의원은 “농외소득이 월등하게 높다는 것은 주업인 영농활동에서 생계가 보장되지 않는다는 반증”이라며 “영농활동과 관련해 불안감을 해소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농업소득 향상 목표와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에 대해 도와 경기농협 등은 지역 특성상 농업·농외소득이 함께 상승하는 게 당연하다는 반응이다.

제주, 전남 등과 달리 지가가 비싸고 특화작물, 수확량 등이 부족해 농업소득 상승에 한계가 있다는 것.

경기농협 관계자는 “생산비, 노동력 절감을 통한 농업소득 향상도 중요하지만 도내 농가의 경우 도심 속에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수익사업 활성화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 역시 “제주의 농가소득 5천만 원 달성도 특화작물인 감귤을 매개로 한 영농활동과 관광산업이 병행된 결과”라며 “도내 농가 역시 체험, 축제 등 농업과 타 업종 간 융합을 통한 소득 증대가 가장 합리적”이라고 전했다.

황호영기자

사진=여주시청(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여주시청(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