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군·구서 유기동물 계속 늘지만 수천만원 사료값 충당하기도 벅차
상주 수의사 마저 없어 치료 못해… 인천시 "군·구와 계약, 별도지원 불가"

인천시 계양구 외진 산기슭에 자리한 커다란 컨테이너 건물.

들어서기 전부터 강아지 수십마리가 동시에 울부짖는 소리와 앞발로 철창을 흔드는 소리로 소란하다.

얇은 철판으로 간신히 추위를 피한 건물 안, 주인잃은 고양이들을 보호하는 건 새카맣게 녹슨 철망이 전부다.

반대편 방, 철장에 들어선 강아지 수백마리가 뒤엉켜 울부짖는 가운데 ‘치료실’이라고 적힌 문 너머에는 목에 붕대를 감은 강아지가 바닥에 드러누운 채 헐떡이고 있다.

이곳은 남동구·미추홀구·연수구·옹진군의 유기동물을 위탁보호하는 인천수의사회동물보호소다.

13년 전 인천시수의사협회가 유기동물 보호를 위해 세운 이 곳에는 한 달에만 200마리에 가까운 유기동물이 들어온다.

지난해 4개 군·구에서 들어온 유기동물은 약 2천273마리.

이 동물들을 치료하고 사료를 먹이는데만 수천만 원이 들어가지만 지원되는 금액은 해당 군·구에서 입소 동물 한 마리당 지원하는 12만 원이 전부다.

여기에 직원 6명 인건비에 보호소 부지 역시 수의사협회에서 다달이 250만 원씩 임대료를 내며 운영하다보니 보호소에 상주하는 수의사를 고용하기란 꿈도 꾸기 어렵다.

보호소 관계자는 “위탁기관이지만 실질적으로 시에서 지원하는 금액은 전혀 없다”며 “다쳐서 들어온 동물이 추가로 감염되거나 스트레스로 죽어나가도 치료비가 부족해 발만 구르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실제로 동물보호관리시스템에 따르면 이곳 보호소에서 사망한 동물은 지난해에만 1천289마리에 달한다.

이런 가운데 인천시에서는 1년에 보호소 실사 횟수가 한두차례에 그치면서 구체적인 보호소 운영 현황조차 알지 못하고 있었다.

시 관계자는 “보호소에 들어가는 고양이는 1~2마리 정도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지만, 그 말이 무색하게 보호소에는 매년 고양이 600여 마리가 들어오고 있다는 상황이다.

여기에 시는 수의사회보호소가 직영 기관이 아니라는 점을 들어 책임 소재가 없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수의사회보호소는 사실상 각 군·구와 계약을 맺은 것”이라며 “예산 등의 문제로 군·구에 제공하는 지원금 외에 별도의 지원은 하지 않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조윤진기자/koala0624@joongboo.com

유기동물보호소. 사진=연합
유기동물보호소. 사진=연합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