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농도 미세먼지 발생빈도 느는데 환경법상 황사때만 측정 규정탓… 중금속 농도 확인안돼 보완 시급
보건환경연구원 "환경부에 건의 계획… 자체 측정망 운영·분석 추진도"

연일 수도권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된 14일 인천시 남동구 시청역 사거리에서 마스크를 쓴 시민이 잿빛 거리를 걷고 있다. 이날 인천지역 미세먼지(PM10)농도 최고값(6시기준)은257㎍/㎥을 기록했다. 윤상순기자
연일 수도권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된 14일 인천시 남동구 시청역 사거리에서 마스크를 쓴 시민이 잿빛 거리를 걷고 있다. 이날 인천지역 미세먼지(PM10)농도 최고값(6시기준)은257㎍/㎥을 기록했다. 윤상순기자

인천지역 미세먼지 농도가 높으면, 대기 중 중금속 농도는 어떨까?

누구나 높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하지만 실제 중금속 농도가 얼마나 높은지 단정 짓기는 어렵다.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한 날,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환경부는 중국 고비 사막 등지에서 발생한 황사가 베이징, 톈진 등 공업도시를 거치면서 중금속과 함께 유입되는 것으로 보고 황사 발생 때 대기 중 중금속 농도 측정토록 규정해 놨다.

하지만 황사가 아닌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이 때문에 14일 미세먼지가 인천을 비롯한 전국 곳곳을 뒤덮어도 대기 중 중금속이 얼마나 함유돼 있는지 확인할 길이 없다.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4월과 11월 두 차례 인천지역에서 황사가 발생했다.

두 차례 황사 발생 때 납(Pb), 카드뮴(Cd) 등 중금속 농도는 평상시의 최대 두 배 이상 높았다.

중금속 중 Pb, Cd 등은 황사에서 기인한 토양기원금속류가 아닌 공장 등 인위적인 시설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이다.

인천 전역에 짙은 황사가 발생했던 지난해 11월 Pb 농도는 ㎥당 0.0554㎍으로 당월 평균 0.0279의 두 배 높았고, Cd 농도도 평균보다 황사가 발생했을 때 1.5배 더 높았다.

최근 들어 황사 발생 횟수와 일수는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대신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빈도는 늘고 있다.

이 때문에 미세먼지 농도가 높게 나타났을 때에도 중금속 농도도 측정해 대책을 수립해야 하지만 현행 환경법에서는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행 환경정책기본법, 대기환경보전법, 대기오염측정망 설치 및 운영지침 등에 황사가 아닌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때 중금속측정망을 운영해야 한다는 법적 근거가 없기 때문이다.

이에 시 보건환경연구원은 현행 법상의 문제점을 보완해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때에도 중금속 농도를 측정할 계획이다.

미세먼지와 중금속의 농도를 비교·분석해 선제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기초자료 축적이 선행돼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방기인 시 보건환경연구원 대기환경연구부장은 “황사 뿐 아니라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했을 때 중금속측정망을 운영할 수 있도록 환경부에 건의할 계획이다”며 “이번에 자체 중금속측정망을 운영해 분석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을 비롯한 수도권에서 이틀 연속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돼 시민들은 큰 불편을 겪어야 했다. 이번 전국을 뒤엎은 고농도 미세먼지는 예보가 시작된 이래 가장 심각한 수준이 될 전망이다.

정민교기자/jmk2580@joongboo.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