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3배이상 격차 넓혀… 혁신클러스터 본격화 영향

판교 테크노벨리 전경. 사진=연합
판교 테크노벨리 전경. 사진=연합

경기 지역의 연구개발비와 연구개발인력 등 연구개발 활동이 2000년대 들어 서울을 넘어선 뒤 점차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21일 발표한 ‘경기지역 서비스업 현황 및 시사점’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경기 지역 지식산업센터 수 증가율(2006년 12월 대비 2018년 9월 기준)은 240%로 같은 기간 서울의 증가율(165%)보다 1.45배 앞섰다.

또 같은 기간 입주업체 수 증가율도 경기가 245%를 기록했지만, 서울은 127%에그쳤다.

경기 지역의 연구개발비와 연구개발인력도 2000년대 초반부터 서울을 앞질렀다.

두 지역의 연구개발비는 경기가 2000년까지 서울에 뒤지다가 2001년 6조1천억 원으로 서울(3조6천억 원)을 처음으로 앞질렀다.

이후 격차를 벌려나간 경기는 2016년 33조1천억 원으로 서울(10조5천억 원)과의 격차를 3배 이상 넓혔다.

연구개발인력 수도 2003년 경기가 8만2천 명으로 서울(8만1천 명)을 앞지르더니 2016년에는 경기(20만5천 명)가 서울(15만 명)을 크게 웃돌았다.

한은 경기본부는 이런 격차는 2000년 들어 정부 지원으로 경기도가 혁신클러스터 조성을 본격적으로 추진한 때문으로 분석했다.

정부는 선진국수준의 신기술 확보를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1998년 12월 ‘산업기술단지 지원에 관한 특례법’을 제정했고, 이에 힘입어 경기도는 1999년부터 성남 판교, 수원 광교, 안산 등에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했다.

이어 화성 동탄, 제2판교, 용인, 광명시흥 제3판교 등 경기남부지역에 테크노밸리를 조성 중이다.

경기남부지역은 서울보다 임대료가 저렴하고 서울과 인접한 데다 2000년 들어 지하철 분당선 연장과 신분당선 개통 등에 따른 서울 강남지역과의 접근성이 향상되면서 젊은 연구인력의 유치여건이 크게 개선됐다고 한은 경기본부는 설명했다.

다만, 기업의 연구개발활동과 함께 디자인, 마케팅, 컨설팅 등 고부가가치 전문 사업서비스업에 대해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나 이들 업종의 발달이 아직은 미흡하다고 덧붙였다.

경기지역 사업서비스업의 전국 비중은 27.8%로 서울(39.8%)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았다.

사업서비스업이란 다른 기업체의 경영효율 또는 전문성을 제고하는 업무를 통칭하는 것으로 연구개발, 법률, 회계, 디자인, 청소, 경기 등을 포함한다.

한은 경기본부는 “지리점 이점 등에 힙입어 연구개발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므로 성장기반 강화를 위해서는 교통망 및 정주여건 개선 등 연구개발 선도지역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제고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

황호영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