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에게 사회봉사가 의무화되면서 본질이 왜곡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7일 인천대학교 취업 정보란에 국제행사 의전과 통역을 맡을 대학생을 모집한다는 내용의 광고지가 붙었다.

기준이 충족되면 누구나 선착순으로 참여할 수 있고, 봉사시간 인증서를 제공한다.

필요한 건 인사 정도의 영어 실력과 참가비 3만 원이다.

광고지를 본 학생들은 씁쓸해했다.

이 학교 학생 박 모(24) 씨는 “돈만 주면 봉사 시간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것 아닌가”라며 “봉사의 의미가 퇴색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 모(22·여) 씨도 “의무적으로 봉사시간을 채워야 하니 그런 경우가 있는 것 같다”며 “타인을 이해하고 돕는 봉사의 의미가 지금은 단지 시간 채우기로 변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행사 관계자는 “참가비는 교통비와 식비에 쓴다”며 “3만 원을 내면 7~8시간 봉사시간을 인정받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봉사활동이 교육 현장에 처음 도입된 건 1995년이다.

이듬해 서울시교육청이 고교 입시에 봉사활동을 반영하면서 한 학년에 20시간을 채워야 하는 규정이 전국적으로 생겨났다.

이후 대학에서도 봉사활동은 학칙에 따라 이수해야 하는 시간이 다르지만 졸업은 물론 학점과 취업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에 대해 봉사활동의 의식교육이 우선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인천대 권정호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자원봉사를 의무화하다 보니 학생들은 이를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과제로 보고 있는 것 같다”며 “대학교의 봉사활동은 학생들이 사회로 나가기 전 어려운 이웃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함이다. 활동을 의무화하는 것보다 봉사활동에 대한 의미를 제대로 알려주는 교육적 인프라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조냇물기자/nm_voice@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