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안전·수사·교통 등 기능별 빅데이터 통합 관리…5년간 160억원 투입 예정

경찰이 생활안전과 수사, 교통 등 기능별로 분산돼있는 각종 빅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통합 플랫폼을 통해 가정폭력 재발 징후나 피의자 도주 경로 등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등 경찰의 범죄 대응이 한층 고도화할 전망이다.

18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 정보화 전략계획(ISP)'을 수립해 기획재정부에 예산 심의를 신청했다.

경찰청은 내년부터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과 포털 시스템 개발에 착수해 2024년까지 단계적으로 시스템 고도화 작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5년간 사업비는 160억여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현재 경찰이 보유한 빅데이터 관련 정보시스템으로는 112시스템과 교통전산시스템, 과학수사포털시스템, 지리적 프로파일링 시스템인 지오프로스(GeoPros) 등 31개 정보시스템이 있다.

이들 31개 정보시스템의 정형 데이터 용량만도 145억건에 달하고 폐쇄회로(CC)TV와 녹취파일 등 비정형 데이터 용량은 359TB(테라바이트)에 이른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하지만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이 갖춰져 있지 않아 기능별로 제한된 범위에서만 이를 활용하는 등 데이터를 융·복합해 활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 일관된 빅데이터 사업 추진이 어렵고 기능별로 중복 투자가 발생하는 등 비효율성도 문제로 지적돼왔다

경찰청 관계자는 "범죄 양상이 갈수록 다양화·지능화함에 따라 스마트 치안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며 "빅데이터 분석에 근거를 둔 효율적 업무 추진과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해 통합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경찰청은 지난 2월부터 약 5개월간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을 위한 ISP를 수립해왔다.

ISP에 따라 경찰청은 기능별로 흩어져있는 데이터를 쉽고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분류체계를 개편하고, 이를 표준화하는 작업을 거칠 예정이다.

각 기능별 빅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분석해 지역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치안 활동을 지원하고, 범죄 활동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분석 결과를 신속히 현장에 제공하기 위해서다.

경찰은 ▲ 체포영장이 발부된 피의자의 이동 경로 패턴 분석 ▲ 외국인 밀집 지역의 치안 위협 요인 분석 ▲ 가정폭력 재발 징후 분석·대응책 마련 ▲ 교통시설물 운영·관리 전략 수립 등 10개 과제를 우선 추진 세부 과제로 정했다.

경찰청은 우선 최근 벤처형 조직으로 신설한 치안빅데이터정책과를 빅데이터 전담 부서로 정해 2년간 운영한 뒤 정보화장비정책관 산하 정식 직제로 편성할 방침이다. 연합

경찰청 관계자는 "빅데이터 역량 강화를 위해 조직을 재설계하고 인재 육성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