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참가업체·구직자 정보 사전안내 등 매칭률 신경써야
타 지자체·대학과 협력도 대안

4. 알맹이 찬 채용박람회 되려면

채용박람회의 순기능을 살리고 저조한 매칭 건수와 만족도 등을 개선하기 위해 박람회 정보를 토대로 타(他) 지자체·대학 등과 협력해야 한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채용박람회 이면에 취업의지가 없는 구직자나 채용의지가 없는 구인회사가 상당수 있는 등 여러 문제점이 드러났지만,박람회 순기능도 무시할수 없다.박람회 1회당 평균 34명의 취업자가 나오는 것도 성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한 채용박람회에서 만난 구직자 A씨(60·여)는 “인터넷을 할 줄 몰라 많은 회사들이 한 데 모인 채용박람회가 편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비용 대비 채용인원수가 많다고 볼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배적 견해다. 박람회를 한 번 여는 데 드는 비용이 1천800여만 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지자체별로 산발적으로 채용박람회를 개최하고 있어 투입재정 대비 효과(성과)가 낮아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채용박람회에 다수 참가 경험이 있는 업체 관계자들은 “지자체가 채용박람회 참가업체에 대한 정보를 구직자들에게 미리 안내만 해줘도 매칭 건수가 오를 것”이라고 주장했다.

1년여 동안 6회 이상의 채용박람회에 참가한 시흥소재 병원 인사팀 관계자는 “지자체가 박람회를 열기 전 구직자 이력서를 취합해 참가업체와 모집직종 등을 알맞게 분류·안내만 해줘도 채용인원은 더욱 늘 거라 생각한다”고말했다.

전문가들도 또 지자체가 지금까지 열어온 박람회 정보를 모아 산업·직군별로 채용박람회를 연다면 실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최배근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각 지자체가 여태 개최한 박람회 자료를 토대로 산업과 모집직군 등 정보를 체계화해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봉걸 서울시립대 경제학 교수도 “기업들이 업종과 모집직군 등을 먼저 지자체에 알리고,지자체는 이를 구직희망자들에게 박람회 개최 전 충분한 시간을 두고 알리는 등 중간자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타 지자체나 대학 등과 협력해 박람회를 개최하는 대안도 나왔다.

성 교수는 “인근 지자체들과 협업을 통해 다수 지자체가 함께 채용박람회를 개최하는 편이 보다 경제적”이라며 “가능하다면 지역 내 대학기관과 연계하는 방안도 고려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실제 시흥시와 안산시는 지난 5월 협력해 2천450만원의 비용으로 ‘시흥·안산 스마트허브 채용박람회’를 열어 참가기업 50개소, 채용인원 74명 등의 성과를 냈다. 이는 평균 참가기업수인 27.43개소와 채용인원수 33.95명보다 각각 22개소, 40명가량이 많은 수치다.

이와 함께 경기도 내 채용박람회인 만큼 도(道)가 직접 나서 ‘온라인 구인구직플랫폼’을 만드는 전문가 제언도 나왔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도가 나서 지역 내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이른바 ‘통합 온라인플랫폼’을 만든다면 박람회 개최비용은 줄고 참가업체 규모는 늘어나 채용인원수를 더욱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터넷 사용이 익숙지 않은 고령구직자가 소외되는 문제에 대해선 강 교수는 “수천만 원이 드는 채용박람회 예산을 줄여, 각 지역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가 플랫폼 사용법을 교육하거나 홍보하면 문제될 게 없다”고 말했다.

명종원기자/light@joongboo.com

사진=중부일보DB
사진=중부일보DB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