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는 분명하지만 중소기업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오는 28일 일본 정부의 한국 화이트리스트 제외 발효시점이 다가오는 가운데 경기중소벤처기업청을 비롯한 도내 중소기업 지원기관과 반도체 소재 관련기업 간 간담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 참석한 A기업 대표는 “그동안 일본기업과 안정적인 거래를 해오던 국내 대기업들이 일본의 수출규제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에도 눈을 돌릴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고 전했다.

경기중기청에 따르면 이달 6일 기준 직접적인 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높은 일본 의존도와 거미줄처럼 얽힌 반도체 산업의 특성상 영향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공정 구축에 필요한 제품을 생산하는 B업체는 일본에서 원재료를 수입해 가공 후 국내 대기업에 납품한다. 또 일부 제품은 일본에 수출하는데, 해당 일본기업은 부품을 가공해 다시 국내 대기업으로 납품하는 상황이다.

B업체 관계자는 “반도체 생태계는 사슬처럼 얽혀 있기 때문에 우리기업이 제재 대상이 아니라고 해서 영향을 피해갈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높은 일본 의존도도 문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현재 대일적자는 224억 달러, 반도체 소재·부품 국내 조달률은 27%에 불과하다.

전종찬 한국무역협회 경기남부지역 본부장은 “전략물자 외에 일본이 캐치올제도를 확대 적용한다면 제재품목이 늘어날 수 있다”면서 “급변하는 통상환경 속에서 일본 수출규제가 아니라도 특정국, 특정기업에 의존하는 건 위험하므로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반도체 소재 관련 기업기업들은 지난 5일 정부가 발표한 부품·소재 지원대책에 대해 고무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면서 “신산업과 신제품 편중, R&D 이후 상용화 과정 등에 대해 다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C기업 관계자는 “R&D 과정에 1의 비용이 투입된다면, 상용화 과정에는 5 이상의 비용이 투입된다”면서 “R&D는 반드시 새로운 것이 아니라 기존제품의 확장, 고도화에도 필요하지만 이런 분야에 대해서는 정부의 관심이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현재 중소벤처기업부는 직간접적인 피해 최소화와 핵심 부품소재 개발기업 지원을 위해 TF를 운영 중이며, 경기중기청은 일본 수출규제 신고센터를 설치하고 도내 경제단체, 유관기관 등과 공동으로 애로사항을 접수·조사하고 있다.

중소기업 피해 발생 시, 기존 추경에 반영된 긴급경영안정자금(1천80억 원)과 컨설팅(36억 원) 예산 등을 활용해 피해기업을 지원하게 된다.

백운만 경기중기청 청장은 “전세계가 분업화돼 사슬처럼 얽혀 있는 상황에서 한 나라의 몽니로 위기를 맞고 있다”면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 한 번의 대책이 끝이 아닌,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 다시 개선·보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안형철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