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되고 있는 미중 무역경쟁과 일본의 경제 보복 등 글로벌 반도체 경기 불황에 그 끝이 보이지 않고 있다. 결국 폭탄이 대기업으로 향하면서 기업체가 소재한 지방정부에도 그 영향이 미치고 있다는 소식은 심각함을 넘어서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영향이 곧바로 주민들의 삶과 직결되고 있다는 점이다. 삼성전자의 경우 실적이 저조하자 수원과 용인, 화성 심지어 평택 등 경기 남부권 지자체들이 패닉 상태에 들어갔다는 얘기도 들리고 있다. 한 마디로 경기 남부 지역 지방정부의 긴축으로 이어지고 있어서다. 알다시피 삼성전자는 본사와 사업장이 남북으로 이어지는 모양새를 갖추고 있다. 이른바 삼성 벨트다. 그래서 해당 지자체들은 매년 지방세 세입 가운데 수 천억 원을 삼성전자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얘기가 달라지고 있다.

여기저기서 피부로 느끼는 정도가 확연해지고 있다. 심지어 내년엔 세수가 예전에 비해 절반 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면서 지방정부의 사업 규모도 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긴축 예산 편성이 불가피해 각종 축제는 물론 행사가 아예 없어지거나 일부 사업들도 중단될 것이 분명해진다. 우선순위마저 나오고 있는 정도라면 얘기는 달라진다. 당장 내년이 문제다. 이렇게 확 줄어든 예산은 시민들의 불편을 강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한 예로 삼성전자로부터 들어오는 법인 지방 소득세 세입이 상대적으로 많은 수원시는 올해 8천354억 원에서 내년에는 3천84억 원으로 63%나 줄어들 것으로 추산돼 이만저만 걱정이 아니라는 소식마저 들린다.

짐작하다시피 대기업 중 삼성전자는 그간 증가해 온 매출 증가와 함께 위에 열거한 경기 남부 지방정부 법인 지방 소득세 세입의 절반을 넘기는 중대한 역할을 해왔다. 여기에 협력업체를 포함하면 상상할 수 있는 규모나 비중은 늘어난다. 그러나 내년에는 그 그림이 달라질 모양새다. 물론 삼성전자의 실적 발표에 이미 지방정부는 비상상황을 예고하고 있다. 모든 사업 추진에 변화가 올 것이 분명해서다. 예산안 구조 조정안이 가장 중심에 서 있다. 당장 수원시는 장기 미집행 시설 보상에 차질을 우려하고 수원 화성문화제 등 지역 축제의 축소나 폐지도 거론하고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해마다 이맘때 준비되는 정조대왕 능행차도 격년제로 열자는 민망함의 목소리마저 묻어 나온다.

한 마디로 삼성전자의 실적 악화가 시민 생활 전반에 영향이 미쳐지는 때가 온 것이다. 얘기의 중심은 예산 편성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면서 복지 정책 같은 주민들의 삶과 직결된 사안들부터 줄어들 것이 뻔하다는 것이다. 용인시도 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여러 시민 편의 증진을 위한 계획안을 내놓았지만 지방세 세수 감소 때문에 시행 여부마저 불투명하다는 소식이다. 바로 인근의 화성시도 그 사정이 여기서 멀지않다. 깎아내리자는 부서와 지키려는 부서의 싸움이 치열할 정도라는 후문이다. 결론적으로 삼성전자 실적 악화가 불러온 시민의 불편함이 이어질 상황이다. 대기업을 무조건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던 그 많은 시선들이 어디로 향할지 궁금한 현실이다.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