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관로 진단유지 위한 점검구… 본부·사업소, 관리 안해

<편집자주> 지난 5월 30일, 인천 서구에서 붉은 수돗물이 쏟아지면서 대규모 혼란이 일었다. 적수사태가 벌어진지 67일만에 인천시에서는 수질 정상화를 선언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내놨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관리점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본지에서는 세 편에 걸쳐 인천 상수도의 관리점검 상황을 확인하고 구조적인 차원에서 사각지대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인천이 적수사태로 홍역을 치른지 4개월차에 접어들었지만, 인천시의 수도 대책과 달리 일선 현장의 상수도 점검관리는 여전히 제자리인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시 등에 따르면 현재 적수사태는 완전히 해결됐고 그 마무리 단계로 피해 주민들에게 보상작업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이 과정이 채 끝나기도 전에 인천지역 상수도의 주요 시설 일부가 여전히 관리감독의 사각지대에 방치된 상태다.

시가 발표한 수도 대책에 점검구를 비롯한 시설 관리점검에 대한 내용이 빠져있는데다 인천상수도본부와 지역사업소가 소통에 엇박을 내면서 책임을 서로 미루고 있는 탓이다.

점검구는 땅 속 깊이 묻혀있는 상수관로를 진단하고 유지하기 위해 배관에 설치하는 일종의 관리 장치다.

지난 2006년 개정된 수도법시행령에서는 새로 설치하는 상수도관망에 대해 일정 구간마다 점검구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원리대로라면 배관에 설치된 점검구로부터 수량·수질·수압·누수·노화 등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사전에 문제를 발견해야하지만 상수도본부와 지역사업소 모두 이러한 점검구를 수시관리하지 않으면서 사실상 무용지물이 됐다.

미리 설치된 점검구로 조기에 문제를 파악하기보다 민원이 들어온 구간에 한해서만 사후조치를 취하다보니 민원이 생기고나서야 배관을 확인하고 문제를 파악하는 것이다.

결국 누수, 오염 등 배관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겉으로 드러나 민원으로 이어지기 전까지는 관리자가 알지 못한다는 의미다.

상수도본부는 본부에서 매년 한 번 이상 구간을 나눠 상수도 자체를 점검하되 세부 시설은 해당 지역의 지역사업소가 직접 관리한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본부의 설명이 무색하게 지역사업소에서는 점검구 관리가 본부 소관이라며 다시금 책임을 돌리면서 별도로 점검에 나서지 않고 있다.

구체적인 관리 담당자를 토대로 점검상황을 공유·소통하기보다 상대 기관에서 관리감독을 할 것이라는 판단 아래 사실상 시설을 방치하고 있는 셈이다.

한 지역사업소 관계자는 “지역사업소에서 직접 관리하는 상수도 시설은 유량계와 기압장이 전부”라며 “평소 민원이 없으면 상수도 시설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민원이 생긴 지점만 조치하고 있기 때문에 평상시에 점검구나 배수변 밸브 등을 따로 확인하거나 점검하는 경우는 없다”고 말했다.

조윤진기자/koala0624@joongboo.com

사진=연합(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연합(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