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반 급식 안해 음식감염 낮고 휴전선 철책·軍감시카메라 상 북한 멧돼지 침입 가능성 낮아
네팔인 근로자 모국 다녀왔지만 네팔은 아직 ADF 발병국 아니야

파주시와 인접한 연천군에서도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18일 오후 연천군 백학면의 확진 판정을 받은 양돈 농가 인근에서 방역 관계자들이 차량 방역을 하고 있다. 김영운기자
파주시와 인접한 연천군에서도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18일 오후 연천군 백학면의 확진 판정을 받은 양돈 농가 인근에서 방역 관계자들이 차량 방역을 하고 있다. 김영운기자

 

파주에 이어 연천에서도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연달아 발생한 것과 관련, 방역당국이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지만, 감염 경로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18일 경기도, 농림축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전날 확진 판정을 받은 파주 돼지 농가에 이어 이날 연천의 한 돼지농가에도 발병하면서 방역 비상이 걸렸다.

해당 농가들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병할 특별한 의심 사유는 찾아볼 수 없는 상태다.

연천 농가에서는 어미돼지(모돈) 370마리, 새끼돼지(자돈) 1천900마리, 비육돈 2천400마리 등 총 4천700마리 가량의 돼지를 기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의 발생 원인은 ▶바이러스가 들어 있는 남은 음식물을 먹이거나 ▶농장 관계자가 발병국을 다녀왔거나 ▶야생 멧돼지가 바이러스를 옮기는 경우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파주 농가와 마찬가지로 연천 농가 역시 잔반을 먹이거나 외부 침입 요인은 없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연천 발생 농장은 파주와 마찬가지로 잔반을 급여하지 않는다”며 “울타리도 설치돼 있다”고 말했다.

연천 발생 농장에는 네팔 국적 4명과 스리랑카 국적 1명 등 총 5명의 외국인 근로자가 일하고 있다. 이 가운데 네팔 국적 1명은 올해 5월 고국을 다녀온 기록이 있지만, 네팔은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국가가 아니다.

또 다른 감염 경로로 흔히 지목되는 야생 멧돼지에 대해서도 방역 당국은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기본적으로 휴전선에 철책이 설치돼 있는데다가, 군의 감시 카메라가 운영돼 북쪽에서 넘어온 야생멧돼지가 철저히 관리되고 있기 때문이다. 방역 당국은 북쪽에서 넘어온 멧돼지는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첫 발병된 파주 농가와 연천 농가 간의 차량 이동 역시 없다. 구제역은 공기로도 전파되지만,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어떻게든 접촉을 해야 감염되는 탓에 더욱 의문이 남는다.

앞서 5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먼저 발병한 북한과의 관련성을 의심하는 시각도 제기된다. 이번 두 건의 발생 지역이 모두 휴전선 인근 접경지역이기 때문이다.

환경부는 해당 지역의 멧돼지 서식 가능성이 낮아 야생멧돼지 전염에 의한 발병 소지는 희박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환경부는 “해당 지역은 신도시 인근 평야 지대로, 멧돼지 서식 가능성이 작다”며 “임진강 하구 한강 합류 지점과 10㎞ 이상 떨어져 있어 한강을 거슬러 북한 멧돼지가 유입됐을 가능성도 작다”고 밝혔다.

당국은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최대 6개월까지 시간이 걸리는 탓에, 전파 경로 확인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도 방역 관계자는 “현재까지 정확한 발병원인은 파악되지 않는다”며 “역학조사를 실시해도 몇개월 뒤에나 추정할 수 있고 그마저도 정확하다고 장담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에 대해 남북 간 협력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지난 5월 북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이 확인된 이후 북측에 방역 협력을 제안했지만, 특별한 응답을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수언기자/soounchu@joongboo.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