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우선 법무장관 원포인트 인선을 택했다. 조국 전 장관의 사퇴로 공석 중인 법무부 장관에 5선의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인 추미애 의원을 내정한 것이다. 그렇다면 이제 남은 것은 총리다. 당장에 검찰개혁의 동력을 살리고 최근 범여권과 검찰의 대립 속에 어수선한 분위기를 쇄신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해 법무부 장관 인선을 더 미룰 수는 없다는 판단이었지만 지금의 나라 안팎 어수선하고 어려운 경제상황등을 고려하면 오히려 경제를 잘 아는 총리인선도 서둘러야 한다는 생각이다. 물론 문 대통령은 지난 10월 출입기자단 초청행사에서 "법무부 장관 인선 외에는 달리 개각을 예정하고 있지 않다"면서 원포인트 인사 방침을 일찌감치 공식화했지만 총리 검증에 예상보다 시간이 오래 걸려 이낙연 국무총리 후임과 법무장관 후임을 동시에 발표하는 방안, 총선 출마 장차관들을 함께 교체하는 중폭개각 방안도 꾸준히 나온 터다.

당장에 느끼기에도 법무장관 인선에 속도를 낸 것과는 달리 이 총리의 후임 발표에 조금 더 시간이 흐를 것 같은 분위기다. 하지만 민주당 김진표 의원이 가장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면서 빠른 결단이 요구되는 것도 민생안정이란 커다란 틀 안에서다. 물론 지금 국회가 선거법 개정안 및 검찰개혁 법안 등 패스트트랙 법안을 두고 대립을 이어가는 상황이긴 해도 경제통으로 알려진 김 의원에 대한 큰 틀을 거스르기는 어려울 것으로 여겨진다. 총리의 경우 장관과는 달리 국회 표결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관문이 있다. 하지만 지금의 여러 상황은 경제라는 큰 틀 안에서 모든 게 이뤄져야 하는데 여야가 이견이 없어 보인다. 김 의원 자체도 총리에 지명되면 문재인 정부가 출범할 때 국정기획을 만든 사람으로서, 문재인 정부가 성공할 수 있도록 공직 생활에 있어 더 크게 기여하고 헌신할 수 있도록 해야 될 것이라는 각오를 밝힌 바 있다.

김 의원의 말처럼 그것이 우리 경제를 더 발전시키고 민생경제를 개선할 수 있는 길이라는데 우리 역시 동의하고 있다. 물론 최근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한 김 의원에 대한 어느정도의 반대 목소리를 모르는 바 아니다. 문재인 정부가 추구하는 정책기조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반개혁적 정책성향을 가지고 있다는 얘기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김 의원에 걸어온 길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 민주당의 한 의원도 "여권 내에서는 여전히 김 의원이 1순위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는 인터뷰를 했을 정도다. 경제 총리라는 콘셉트에 맞춰 김진표 민주당 의원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면서도 이를 여전한 이념으로만 비판을 거듭해서는 남은 정권의 기한에 경제는 여전한 우려 속으로 빠져 들 수도 있다.

실사구시(實事求是)라는 말이 있다. 사실에 바탕을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얘기로 지금이 그 시기로 판단된다. 김 의원이 상대적으로 보수 성향인 점 등을 문제 삼고 있다는 일부 얘기 역시 국내의 어려운 경제를 감안하면 이런 실사구시에도 부합되지 않는다. 과연 친문 이미지로만 헤쳐 나갈 수 있는 문제인지 곱씹어 볼 얘기라는 점이다. 총리 교체 여부 시기가 멀어질수록 국민들의 불안감만 더해진다. 국민들이 선택한 지도자가 택해야 할 또 다른 선택이 중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