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로 지난 1분기 가계의 소비지출이 역대 최대폭 급감했다.

가계의 평균 소비성향(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율)도 역대 최저로 떨어진 반면 흑자율(가처분소득에서 흑자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역대 최고로 상승했다. 벌어들인 돈보다 쓰는 돈이 더 많은 적자가구비율은 급락했다.

소득 하위 20%(1분위) 가구의 소득은 제자리걸음을 한 반면, 소득 상위 20%(5분위) 가구의 소득은 전 분위 중 가장 많이 늘면서 가계의 소득 격차는 벌어졌다.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20년 1분기 가계동향’을 보면 올해 1분기 전국 가구(2인 이상)당 명목 소비지출은 월평균 287만8천 원으로 1년 전보다 6.0% 감소했다. 2003년 통계 집계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항목별로는 의류·신발(-28.0%), 교육(-26.3%), 오락·문화(-25.6%) 등 소비지출을 급격히 줄였다.

특히 저소득층인 1분위 가계의 소비지출은 월평균 148만6천 원으로 1년 전보다 10.0% 줄었다. 이 역시 2003년 통계 집계 후 역대 최대폭 감소다.

반면 5분위 가계의 소비지출은 월평균 468만6천 원으로, 1년 전보다 3.3% 감소하는 데 그쳤다.

전국 가구의 실질 소비지출은 7.0% 줄어 감소폭이 더 컸다.

가구당 비소비지출도 월평균 106만7천 원으로 1.7% 감소했다.

가계소득에서 세금, 사회보장분담금 등을 빼고 실제로 쓸 수 있는 금액을 나타내는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은 월평균 429만1천 원으로 1년 전보다 5.1% 증가했다.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41만3천 원으로 1년 전보다 2003년 통계집계 이후 최대인 38.4% 폭증했다.

가처분소득에서 흑자액이 차지하는 비율인 흑자율은 32.9%로 역시 2003년 통계집계 이후 최고로 상승했다. 흑자율은 통상적으로 가구가 지출을 하고도 얼마나 저축여력이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지만, 코로나19로 이동제한이나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영향으로 소득여력이 있는데도 지출이 억제되는 측면이 있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통계청은 지적했다.

가처분소득보다 소비지출이 큰 적자가구 비율은 22.7%로 지난해 27.9%에서 5.2%p 급락했다.

1분기 가계의 평균소비성향은 역대 최저치인 67.1%로 떨어졌다. 1년 전보다 역시 역대 최대폭인 7.9%p 급락한 결과다.

월 100만원을 버는 가구(가처분소득 기준)가 67만1천 원만 쓰고 나머지 32만9천 원은 비축했다는 의미다.

1분위 가구의 소득은 1년 전 대비 그대로였던 반면, 5분위 가구의 소득은 전 분위 중 가장 크게 늘면서 가계의 소득 격차는 벌어졌다.

1분위 가구의 명목소득은 월평균 149만8천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 대비 제자리걸음을 했다.

반면 5분위 가구의 명목소득은 월평균 1천115만8천 원으로 1년 전보다 6.3% 늘었다. 가구의 명목소득 증가율은 2분위(소득하위 40%·0.7%), 3분위(소득하위 60% ·1.5%), 4분위(소득하위 80%·3.7%) 등으로 저소득 가구일수록 낮았다.

명종원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