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만 해온 10년간 해외기업 발전… 기능성 게임 개발 위한 물꼬 터줘야
게이미피케이션 적용 일자리 창출… 디지털특보 신설 등 정부공조 필요

코로나19로 비대면 시대가 찾아오면서 게임 업계는 반사이익을 얻었다. 게임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매출은 수직 상승했고, 질병을 만들던 사회 악에서 대세 문화로 떠올랐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지난달 발표한 ‘2020 게임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6월부터 최근까지 국민의 70.5%가 게임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 중 40% 이상은 코로나19가 발생한 지난 1월 이후 PC, 모바일, 콘솔 게임 이용 시간과 비용이 증가했다고 답했다.

전문가들은 "게임이 디지털 뉴딜의 ‘꽃’"이라며 "게임산업이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지원책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경식 호서대학교 게임소프트웨어학과 교수는 "앞서 개발지원, 기업 육성 등 게임산업을 지원한다는 말은 많았지만, 정작 실현된 정책은 없다"며 "금융 등 실질적인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게임 개발 소기업들은 클라우드 서비스가 필요한데 구글, MS, 아마존 등에서 유료로 사용하는 등 비용과 인건비 부담이 크다"면서 "더욱이 해외 서비스를 시작하려면 비용면에서 큰 산을 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김정태 동양대학교 게임학부 교수는 "경제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뉴딜의 핵심은 결국 일자리 창출"이라며 "디지털 시대 게임의 순기능을 이용해 다양한 분야에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게임 업계가 치료, 교육 등과 연결되는 기능성 게임 개발에 나설 수 있도록 정부가 게임을 하나의 문화로 인정하는 등 물꼬를 터줘야 한다"며 "디지털 특보 신설 등 게임사와의 공조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위정현 ㈔한국게임학회 회장(중앙대학교 경제학부 교수)은 "지난 10년 동안 정부는 게임산업이 마약과 같다며 ‘셧다운제’ 등 규제만 해왔다"며 "국내 게임산업이 규제에 막혀 성장세를 잃어가는 동안 중국 텐센트 등 해외 기업은 엄청난 발전을 이뤘다"고 설명했다.

위 회장은 "디지털 뉴딜에 게임이라는 단어는 없지만 빅데이터나 AI 기술을 실현할 수 있는 산업은 게임"이라며 "상장사에만 혜택이 돌아가는 ‘뉴딜펀드’ 역시 중소업체 투자 개념으로 다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효원기자

사진=연합(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연합(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