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춘 인천시장이 시청 접견실에서 열린 ‘생활미착형 순환버스 인천e음버스 협약식’에서 버스업체 대표들과 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박남춘 인천시장이 시청 접견실에서 열린 ‘생활미착형 순환버스 인천e음버스 협약식’에서 버스업체 대표들과 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2021년 인천시 기획조정실에서 추진하는 8대 핵심 정책은 어제와 다른 오늘의 새인천을 담고 있다.

정책은 다방면의 카테고리를 넘나들고 있다. 공공와이파이 구축부터 공공데이터,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디지털트윈 확장 등 4차산업혁명과 연관됐거나, 평생교육, 인천형 뉴딜 정책 등 기본에 충실한 사업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인천형 뉴딜 종합계획

2020년 11월 발표한 인천형 뉴딜 종합계획은 2025년까지 총사업비 14조 원을 투입해 일자리 17만3천개를 창출하는 게 골자다.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바이오 뉴딜, 휴먼 뉴딜 등 4개 분야로 구성됐으며 대표 사업으로는 송도 AI 창업 스타트업 파크 조성, 인천대 제물포 캠퍼스 내 창업 인큐베이터 육성, 계양 테크노밸리 내 첨단산업 기업 유치 등이 있다.

이중 휴먼 뉴딜은 ‘사회안전망’, ‘고용안전망’, ‘사람투자’로 이어지는 ‘일자리 사다리’를 구축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빠른 경제 회복을 꾀하는 게 핵심이다.

인천시는 인천형 뉴딜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기획조정실장 주재 인천형 뉴딜 전담반’을 ‘행정부시장 주재 추진단’으로 격상했다. 이에 따라 추진단은 인천형 뉴딜의 추진 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정부 정책을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공공데이터 뉴딜사업

인천시의 공공데이터 뉴딜사업은 2020년에 이어 2021년도 이어질 예정이다. 공공·빅데이터 청년인턴십사업(220명), 공공데이터 기업매칭사업(4건)을 추진해 공공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기반 조성을 진행했다.

공공·빅데이터 청년인턴십사업은 고품질 데이터 개방 및 데이터 분석·활용을 위해 데이터 교육을 이수한 청년인턴을 배치하여 업무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를 기반으로 2021년은 행정동 단위 금융데이터 구축, 도시기초정보 GIS공간데이터 구축, 사회복지시설, 도로성황 및 유동인구 데이터 구축과 자연재해 이력 데이터 추진사업을 통해 일자리 창출은 물론 시민 생활 증진에 필요한 데이터를 꾸준히 쌓겠다는 계획이다.

인천지역 내 운행 중인 시내버스에 공공와이파이가 설치돼 있다.
인천지역 내 운행 중인 시내버스에 공공와이파이가 설치돼 있다.

■공공와이파이 확대구축

공공와이파이는 박남춘 시장의 공약이자 국정과제이기도한 구축사업이다. 대중교통 및 공공시설에 무료 와이파이를 구축해 시민에게 무선 인터넷 이용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통신 복지서비스 실현하고자하는 목적성을 띄고 있다. 아울러 노후 된 공공와이파이 AP 교체를 통해 와이파이 품질개선 추진도 함께 담고 있다.

2021년은 총 78억여 원의 시비를 투입해 버스 2천 4 67개소와 관공서, 문화시설, 편의시설 등을 포함하는 공공시설 1천 5 27개소로 확장된다.

민선7기 이전에 1천497개소이던 것을 민선7기 출범 이후 현재까지 3천122개소를 추가로 설치했다. 2022년 말까지 행정복지센터, 버스정류장, 공원, 복지시설, 생활밀착형 이음 버스 등 공공장소 총 6300여개소에 공공 와이파이를 확대 구축될 예정이다.

■스마트도시 통합플랫폼 기반 구축

인천시는 인천 전역의 폐쇄회로(CC)TV를 통합플랫폼으로 연계해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통합사회안전망을 구축한다. 이에 따라 시는 오는 6월까지 10개 군구의 CCTV(1만6천개)관제센터를 연계·통합해 스마트도시 통합운영센터를 구축, 완료할 방침이다.

또 112·119 종합상황실 및 법무부 위치추적관제센터와도 유기적 협력 체계를 구축해 스마트도시 운영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법무부와 연계해 전자발찌 착용자가 위반행위를 하는 등 이상징후 시 CCTV 영상을 제공받아 범죄를 미연에 예방하는 서비스도 추진할 예정이다.

인천시의 통합플랫폼 구축이 완료되면 스마트도시 기술 기반의 안전망을 통해 시민의 생활 속 안전이 강화되고 원도심과 신도시 간 격차도 해소될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

앱으로 버스를 호출하면 차량 위치와 이동 경로를 분석해 승객과 가장 가까운 버스 정류장으로 차량을 배차하는 서비스가 현재 영종도에서 시범 운영 중이다.

수요응답형 버스 ‘아이-모드(I-MOD, Incheon-Mobility On Demand)’ 시범 서비스는 ‘인천광역시 사회참여형 모빌리티 서비스 사업’을 위한 양해각서를 지난 6월 체결하고 시민 의견 수렴 등을 거쳐 아이-모드 플랫폼을 구축했다. 시범 서비스는 영종도 일대 버스 정류장 350여곳에서 쏠라티 16인승 차량 8대로 운영 중이다.

여기에 ‘I-ZET(Incheon Mobility on Demand)’ 공유형 전동킥보드 서비스가 시행돼, 정류장에서 집까지 이동편의를 제공하는 전동킥보드 서비스가 이어진다. 총 300대를 투입하는 킥보드 사업은 만18세 이상 이용을 골자로 안전헬멧 제공은 물론, 대인 1인 1억원 단체보험 가입과 기상악화 시 운영중단을 하는 안전대책으로 운영중이다.

■평생교육 강화

평생교육 사업에 대해 인천시는 인천인재육성재단에서 인천인재평생교육진흥원으로 바꾸고 1국 1원 3팀 체제에서 1단 1실 2팀으로 개편한다. 진흥원에서는 정책연구, 디지털소외계층 문해교육 확대 등을 통해 교육혜택을 받지 못하는 시민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4차산업혁명을 맞이해 생애주기별 평생교육이 대두됨에 따라 진흥원은 청년·중장년·노인을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지원 정책을 펼친다. 청년사업기획단 운영, 직장인 퇴근길 학습, 직장인 학습살롱 등을 통해 평생교육이 중장년층에 한정하지 않았다.

뿐만아니라 인천만의 평생교육 실현을 위해 시비 4억 8천여만 원을 들여 인천학 4개, 민주시민교육 6개 거점기관 운영, 인천형 민주시민교육 시민교사 양성, 학습동아리 지원, 온라인 평생교육 플랫폼을 구축한다.

문해교육 교원연수기관으로 문해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원 양성 필요성 대두에 따라 문해교육센터도 운영중이다. 세부추진상황으로는 중학과정 문해교육 교원연수, 관계자 워크숍 개최, 문해교육 보수교육 운영을 통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느끼는 시민이 없게끔 할 전망이다.

박남춘 인천광시장이 시청 접견실에서 온라인으로 진행된 ‘2020 인천미래정책포럼-인천형 그린뉴딜 온라인 컨퍼런스’에서 존 번(John Byrne) 델라웨어대학교 에너지기후정책과 석좌교수의 기조강연을 듣고 있다.
박남춘 인천광시장이 시청 접견실에서 온라인으로 진행된 ‘2020 인천미래정책포럼-인천형 그린뉴딜 온라인 컨퍼런스’에서 존 번(John Byrne) 델라웨어대학교 에너지기후정책과 석좌교수의 기조강연을 듣고 있다.

■인천 e한눈에

인천시는 데이터기반 행정 혁신의 결실인 ‘인천e한눈에’ 웹사이트를 연초부터 서비스를 시작해 이어오고 있다.

앞으로도 시는 ‘살기좋은 도시 프로젝트’ 서비스의 공개대상 정책을 확대할 계획이다.

‘시민생활에 밀접한 도시현황’ 서비스는 인천시 상수도본부, 환경부 에어코리아, 경찰청 도시교통정보센터로부터 5분~1시간 간격으로 갱신되는 지도 기반 서비스다.

내용은 정수장에서 배수지, 배수관말까지 연결되는 상수도 수질현황, 사고·공사·행사·통제와 같은 도로 교통현황, 미세먼지·초미세먼지·오존 등 대기현황으로 시민생활과 밀접한 데이터를 지도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외에도 올해 데이터 뉴딜사업을 통해 구축한 분야별 50여종 시설 현황의 주소, 전화번호를 지도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하게 된다. ‘인천e한눈에’ 웹사이트는 컴퓨터 뿐 아니라 모바일에서도 접속이 가능해 시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활용할 수 있는 것도 강점이다.

■디지털트윈 확장

인천시는 지난 2012년부터 2030년까지 국비 260억 원을 들여 지적재조사 사업을 추진 중이다. 현 지적도는 일제의 토지조사사업(1910~1924년) 당시 최초 작성된 종이 지적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훼손·변형에 따라 토지의 실제이용 현황과 일치하지 않아 인접 토지소유자 간 경계분쟁의 원인이 되고 재산권 행사의 제약 및 행정 비효율을 초래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일제 잔재를 청산하기 위해 2012년부터 지적재조사 사업을 추진해 지난해까지 60개 지구, 1만8천801필지에 대해 완료했으며, 올해는 국비 8억 4천만 원을 확보해 15개 지구 3천313필지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드론을 활용해 영상을 촬영한 뒤 지자체에 제공하고 있는데, 드론 영상은 기존 영상자료보다 해상도가 매우 뛰어나 사업지구 내 토지이용 상황과 건축물 현황 등을 분석하고 경계를 결정하는데 활용된다.

시는 지적재조사 사업을 통해 구축된 디지털지적이 ±3cm 정도의 측량오차를 갖고 있어 디지털트윈,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신기술 활용의 가장 큰 데이터베이스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송길호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