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터널의 끝이 보이는 것일까. 국제통화기금(IMF)은 1월에 발표한 ‘세계 경제 전망(World Economic Outlook) 수정보고서’에서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3.1%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전망치인 2.9%에서 0.2%p 상향 조정한 것이다.

지난해 우리는 참 힘든 시기를 지나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발표한 2020년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은 -1.0%로, 1998년 외환위기 이후 22년 만에 처음으로 역성장을 기록하였다. 그나마 위안이 되는 것은 OECD 회원국 등 주요국 중에서는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는 것인데, 이는 우리나라가 관광 등 서비스업보다 코로나 19의 충격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제조업 중심의 경제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의 중소기업 기본통계에 따르면 경기지역 중소 제조업 사업체 수는 13만여 개로 전국의 30.5%에 해당하며, 매출액은 약 259조 원으로 전체 중소 제조업 매출의 34%를 차지하고 있다. 경기지역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가 국가 성장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이다. 이를 볼 때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그중에서도 경기지역 중소 제조 기업은 코로나 시대 우리나라 경제 위기 대응의 최전방에 서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코로나 19는 우리의 생활을 완전히 바꿔 놓았다. 불가능할 것이라고 여겨졌던 원격·비대면 방식으로의 전환도 아직 완전하지는 않지만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가 어두운 터널에서 길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했다면, 이제는 터널 밖으로 나간 후 도약하기 위한 준비를 할 때다.

이러한 성장의 원동력이 되는 것이 바로 직업능력개발이다. 사람에 대한 투자는 기업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고, 이는 지역 경제와 국가 경제 성장의 기반이 된다.

그러나 교육훈련 인프라가 부족한 중소기업은 근로자를 위한 직업능력개발이 쉽지 않다. 2019년도 상시근로자 1천 인 이상 기업이 근로자 1인당 교육훈련비 43만247원을 지출한 반면, 중소기업의 경우 300인 미만 기업은 22만8천24원, 100인 미만 기업은 9만4천453원을 지출했다. 중소기업의 직업훈련 참여율은 300인 미만 사업장은 22.2%에 그치고, 100인 미만 사업장은 9.0%로 저조하다.

정부는 다양한 직업능력개발제도를 마련하여 중소기업 근로자 역량과 기업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고 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직업능력개발 정책의 전담 기관으로서 기업과 근로자를 위한 훈련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중 사업주 직업능력개발훈련은 사업주가 소속 근로자 등의 직무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필요한 훈련을 시행할 때 이에 드는 비용의 일부를 지원해 주는 제도로, 사업주가 직접 훈련계획을 수립·실시하는 훈련이다. 자체훈련 실시 경험이 없는 중소기업은 개별 기업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기업 직무분석, 훈련과정 설계 등을 지원받아 현장 맞춤형 체계적 훈련을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장기적인 일과 학습의 병행을 통해 기업에 필요한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는 일학습병행사업, 대기업이나 공동훈련센터에서 중소기업 근로자들을 체계적으로 훈련하는 국가 인적 자원개발 컨소시엄, 우리 지역 기업 수요에 맞는 맞춤형 교육 훈련을 제공하는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사업, 중소기업 학습 조직화 사업 등 중소기업의 성장을 위한 다양한 교육 훈련제도가 실시되고 있다.

위기가 곧 기회이다. 코로나 이후 시대 생존과 도약을 위한 우리 기업의 선택은 위기를 기회로 만들 힘이 될 수 있다. 동트기 전 새벽이 가장 어두운 것처럼, 가장 어두운 것 같은 지금이 바로 직원 교육 훈련을 통한 직업능력개발과 기업의 성장에 투자할 때이다.

최상건 한국산업인력공단 경기지사장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