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기지역본부 기업지원부장.
김상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기지역본부 기업지원부장.

"장애인의 날 41주년을 맞아 이젠 장애인이라는 프레임에서 벗어나 우리 사회의 다양한 영역 중 하나로 인정됐으면 좋겠습니다."

김상구(54)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기지역본부 기업지원부장이 한 말이다.

장애인고용촉진, 직업재활, 지도 등을 돕는 공공기관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1993년부터 일한 김 부장은 생후 4개월때 소아마비증후군을 앓아 두 다리가 불편하다.

후천적 장애를 가진 그는 현재 기업들의 장애인 고용 개선을 위해 현장을 누비고 있다. 특히 장애인들의 성격, 진로 방향성에 맞는 컨설팅을 진행하고자 MBTI 심리진단검사, STRONG 진로탐색검사, 장애인인식개선교육 등 관련 자격증을 취득했다.

김 부장은 장애인 고용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건 88올림픽 이후라고 설명했다. 그는 "당시 장애 인식 개선에 대한 사회적 붐이 일자 1990년 1월 장애인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됐다"며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은 그해 9월 설립돼 제도 마련, 지원 체계 구축 등을 이끌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아직도 장애인고용률을 높이기 위해 갈 길이 멀다고 평가했다. 현재 장애인고용의무제도로 인해 민간 기업은 3.1%의 고용률, 공공기관은 3.4%의 고용률을 지키도록 돼 있지만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다.

김 부장은 "공단 설립초기인 1990년대 초반 0.43%에 머물던 장애인고용률은 지난해 3.08%까지 올랐다"며 "그럼에도 민간 사업장의 경우 장애인의무고용률을 지키지 않는 경우가 절반 정도고, 안정적인 고용환경이 구축되지 않은 기업도 많아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에 공단은 장애인 고용률을 지속적으로 상향시키고자 관련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김 부장은 "앞으로 공공기관의 의무 고용률(3.4%)은 3.8%까지, 민간기업의 의무 고용률(3.1%)은 3.5%까지 높일 예정"이라며 "이를 뒷받침 하고자 재정지원에 그치는 것이 아닌 베리어프리존 구축(물리적 환경 개선), 무상 장애인식 개선 교육 등으로 이뤄지고 있는 장애인고용기업 지원도 더욱 세분화하고 다양화할 것"이라 설명했다.

그럼에도 그는 장애에 대한 사회적 프레임이 벗겨지지 않는 이상 장애 인식, 고용률 등이 완전히 개선되긴 어렵다고 봤다. 비장애인의 시선에서 장애를 정의하고 재활, 극복, 배려 등이 이뤄지고 있기에 장애인이 다양성의 측면으로 인정을 받기 힘들다는 것이다.

김 부장은 "물론 장애인을 위해, 그리고 장애인에 의해 추진되는 일이 많아졌지만 아직 장애는 불편함으로 인식되고 있다"며 "다름이 아닌 차이에 대한 인식, 그리고 장애와 비장애를 동등한 위치로 끌어내는 노력 등이 이어져 장애가 다양성의 모습으로 조명되길 소망한다"고 강조했다.

윤진현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