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의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가운데 2027년까지 향후 5년간 대한민국號를 이끌 새로운 대통령을 뽑는 선거일이 밝았다.

차기 대통령으로 누가 당선되든 미래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을 해소하는 것이 급선무인데 현실은 그리 녹록하지 않다. 코로나 위기와 양극화 위기,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노동구조 변화, 기후위기 등 복합적인 위기가 우리 앞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또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보듯이 강대국의 패권전쟁으로 인한 위기도 결코 남의 일이 아니다.

따라서 새로운 대통령은 이 같은 국내외적인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만들어 경제를 회복시켜야 할 막중한 책임을 요구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위기 극복은 대통령 혼자서는 결코 할 수 없다. 반드시 국민과 함께 해야 하고, 국민들의 동의와 지지를 이끌어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분열과 갈등을 넘어서는 통합과 화합의 정치가 절실하다.

문재인 대통령 말씀처럼, 적대와 분열을 치유하고 통합과 화합으로 나아가야만 내외의 복합과제에 대처하면서 민주주의를 발전시킬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 법륜 평화재단 이사장, 손봉호 전 동덕여대 총장 등 보수·중도·진보를 망라한 사회·종교계 원로 20여 명이 차기 대통령 당선자에게 책임총리제와 초당적 내각 등 ‘국민통합을 위한 연합정부’ 준비에 나설 것을 제안한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들은 "대선을 앞두고 국민들이 느끼는 불안감의 본질은 여당 후보가 당선되면 다수 의석을 배경으로 정치적 독주를 계속할지 모르고, 야당 후보가 되면 ‘식물 대통령’이 될지 모른다는 것"이라며 "이런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길은 누가 당선되더라도 권력을 독점하지 않고 다른 정당·후보들과 협력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번 옳은 지적이다.

대선 막바지에 국민의 분열과 대립을 격화시키는 각 후보의 선거운동이 극에 달하면서 그 후유증도 적지 않을 것이다. 이대로 가서는 누가 당선되더라도 국민 절반의 분노와 외면 속에서 새 정부가 출범할 공산이 크다. 그래서 새로운 대통령 당선자는 승자 독식 구조를 깨고 권력 분산을 통해 ‘통합의 정치’를 하겠다고 진정성을 담아 선언해주길 간곡히 바란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은 벼랑 끝에 몰려 있고,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청년들은 고통의 나날을 보내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우리나라도 생존을 위한 대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다행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모두 ‘통합정부’를 주창했다. 이 후보는 "이념과 진영을 뛰어넘는 실용적 국민통합 정부를 흔들림 없이 계속 추진해나가겠다"고 했다. 윤 후보도 안철수 후보와의 단일화 합의문에서 "미래지향적이며 개혁적인 국민통합 정부를 통해 모든 국정 운영을 정상화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부디 말로만이 아닌 반드시 실천으로 이어지는 약속이 돼야만 한다. 역대 대통령들도 대선 때 ‘통합 대통령’을 외쳤지만 당선 후 빈말에 그치고 말았다.

필자가 지난해 12월 국회에서 주최한 ‘대통령 리더십 세미나’에서 윤여준 전 장관은 발표문을 통해 "민주화 투쟁의 상징적 존재였던 김영삼·김대중 대통령도 재임 중 ‘제왕적 대통령’이라는 평가를 받았고, 민주화 이후 역대 대통령들이 보인 자의적 통치행태는 바로 대통령직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일침을 놓았다. 그는 이어 "민주 국가의 대통령은 수직적 위계질서 속의 1인자가 아니라 ‘동료 중의 1인자’, 또는 집단 의사 결정 과정을 관리하는 최고 책임자로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적 가치의 내면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인데 통합정부 구성을 통해 보완이 가능하다.

세계사적 대전환기다. 이런 시대전환의 길목에서 대한민국의 차기 대통령은 진영, 계층, 지역, 세대, 젠더, 지방과 수도권의 갈등을 녹여낼 수 있는 대탕평, 대통합의 희망의 정치를 만들어내야 한다. 그래서 위기의 대한민국을 구하고 대도약의 발판을 깔아주길 간절히 당부 드린다.

양기대 국회의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