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한 중고차수출단지. 사진=중부일보DB
인천의 한 중고차수출단지. 사진=중부일보DB

"(중소기업사정조정)심의가 어떻게 될진 모르지만 일단 좋지 않은 상황인 건 맞죠"

21일 인천 서구 엠파크중고차매매단지 내에서 사업체를 운영하는 A(47)씨는 매장 내 자동차 키 꾸러미들을 정리하며 말했다. A씨는 대기업의 중고차 판매업 허용으로 타격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지난 17일 중고차 판매업에 대한 ‘생계형 적합업종 심의위원회’를 개최했다. 위원회는 최종적으로 중고차 판매업이 생계형 업종이라는 부분에 동의하지 않으면서 대기업들의 중고차 진출이 가능하게 됐다. 연평균 매출액이 크며 소비자 선택의 폭 확대 등이 이유였다.

하지만 중기부는 대기업의 진출로 인해 중고차 판매 종사자들의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추후 심의회를 다시 열어 시기와 조건 등을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중고차 업계 특수성 고려해야=중기부가 이유로 내세운 연평균 매출액에 대해 종사자들은 불만을 나타냈다.

B(39)씨는 "중고차 업계는 대표가 직원들에게 월급을 주는 구조도 있지만 개인 사업자들이 연합해서 회사를 만들고 대표를 뽑는 방식도 있다"며 "후자의 경우 회사 대표에 몰아 준 뒤 각자 판매 대수에 따라 나눠 갖는 구조기 때문에 실제로 1인당 매출은 그렇게 크지 않다"고 말했다.

A씨도 "매출액을 따지는데 그럼 반대로 중고차를 팔기 위해 사는 것도 우리 돈으로 한다"며 "매출액이 높은 만큼 투자하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고 말했다.

중고차 사업은 매매차량을 판매하기 위해 주차공간을 따로 확보 해야하는 등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연합 운영체제가 많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또한 평균 마진 역시 4% 정도로 다른 소상공인과 비교해 높지 않다고 주장했다.

◇중소업체들 힘들어 질 것=현재 대기업이 자사 차량으로 5년·10만km 이내 차량을 판매한다 하더라도 변화는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게 종사자들의 생각이다.

하석용 ㈜오토브라더스 대표는 "대기업이 온다면 소비자들 입장에선 좀 더 비싸게 차를 사게 될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장기적으로 흥정이 덜해지고 사실상 가격정찰제처럼 운영될 수 있어 자본력이 없는 중소업체들은 버티기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허위매물과 점검내용이 실제와 맞지 않는 등 중고차 업계가 자초한 면이 있다고 주장하지만 중고차 업계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고 항변했다.

소비자보호원에 따르면 지난 2019년 6월까지 중고차로 인한 피해구제 신청은 77건으로 동기간 2016년 300건, 2017년 244건, 2018년 172건 으로 줄어들고 있다.

한국자동차매매사업조합연합회 관계자는 "자본력과 AS시스템 등을 갖춘 대기업에 기존 업체들이 맞서기 쉽지 않을 것" 이라며 "조정 심의회에서 조합원들의 의견을 모아 전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웅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