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일상에서 잊어버리고 약을 제때 복용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환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된 다양한 건강관리 앱이 있다.

앱 이용자는 매일 복용하는 약물 알림부터 혈압과 체중 측정 기능까지 자신의 건강상태를 추적할 수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웰트는 허리둘레와 과식 여부, 걸음수, 소비 칼로리 등 허리 벨트를 통해 감지한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알준다. 이처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스마트기기와 연동해 개인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원인을 분석해 솔루션을 제공하는 어플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과거 처방과 치료에서 예방 중심으로 건강관리의 대전제가 바뀌면서 시장은 더욱 커지는데 웨어러블 기기와 건강관리 관련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함에 따라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 헬스케어란 말 그대로 건강을 관리해주는 서비스인데, 웨어러블기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나아가 인공지능까지 활용해 건강을 관리해주는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어 이를 포함해 ‘스마트 헬스케어서비스’라고 불리우기도 하다.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것 중 웨어러블기기를 통해 걸음걸이나 심박수를 측정한다거나, 스마트폰 카메라만으로 얼굴을 촬영해서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한다거나, 이렇게 건강관리를 해주는 기술들 모두 스마트 헬스케어서비스에 해당된다. 스마트 헬스케어는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키워드로 급부상하고 있는데, 특히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시장 규모도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도 헬스케어서비스에 공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롯데이다.

최근 롯데는 700억 원을 출자해서 헬스케어 자회사를 설립하며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고 밝혔으며, 롯데는 맞춤형 건강기능식품과 운동코칭 서비스를 대표 전략으로 내세웠다.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국내 기업들도 기존 사업에서 그치지 않고 나아가 '고객의 건강까지 연계해 관리하겠다' 이렇게 전략을 바꾸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빼놓을 수 없는 대표적인 헬스케어 연계 업종이 있는데, 바로 금융사이며, 그중에서 대표적인 업종이 바로 보험사이다. 일반 기업들의 경우 건강을 관리하려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활용한 사업에 초점을 맞춘다면, 보험사의 경우 소비자들의 건강 척도가 수익과 직결되는 만큼 더 적극적일 수밖에 없다.질병 등 위험이 발생했을 때 보험금을 지급하는 구조라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의 건강관리가 잘 돼야 지급되는 보험금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보험사들은 헬스케어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올바른 운동 자세를 가르쳐주고, 정해진 운동량을 채우면 보상을 제공하는 홈트레이닝 서비스가 있고, 검사 시설을 마련해 무료로 검사를 제공하고, 결과에 따라 맞춤형 약도 처방해주고 있다.

국내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는 지난해 기준, 약 85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6% 수준인데 2030년에는 국민 4명 중 1명이 고령 인구가 되고, 2040년에는 약 34%, 2050년에는 고령자 비율이 40%대에 달할 전망이다. 미국에서도 스마트 기기를 활용해 건강을 파악하고 이상을 감지하면 가입자에게 미리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금융업이나 일반 산업이 건강, 즉 의료서비스와 접목이 되려면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데이터 결합인데, 아무리 좋은 기기나 서비스들이 등장한다해도 의료데이터와 함께 활용하지 못 한다면 사실상 반쪽짜리 헬스케어에 그칠 수밖에 없는데 국민 전체의 불필요한 의료비를 감소하게 하고, 건강을 증진 시키기 위한 목적이 크기 때문에, 그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시장활성화를 위해서는 국가 의료보험 정책을 다양하게 완화해줄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헬스케어 사업으로 진행한다면 글로벌헬스케어 시장에 K-헬스케어가 적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김준수 을지대학교 스포츠아웃도어학과 교수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