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 현장 "참여학교·과정수만 증가… 예산 부족·기업 선정 어려워" 호소

경기도교육청 전경.
경기도교육청 전경.

운영된 지 4년째인 경기도형 도제학교에서 부족한 예산 지원과 기업체 선정 어려움 등의 현장 불만이 나오고 있다.

정부의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에 비해 운영 자율성은 보장됐지만 제도가 정착기에 접어들면서 일부분이 한계에 부딪쳐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1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일·학습을 병행 교육해 취업 연계를 목표로 하는 경기도형 도제학교는 지난 2018년 10개교 10개 과정으로 시작했다.

현재는 22개교 38개 과정으로 확대해 총 1천326명의 학생이 참여 중이다.

지원 예산은 약 69억 원으로 각 학교, 과정 당 한 번 지정되면 평균 2억 원씩 지원된다.

정부주도형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형태를 유연하게 적용해 경기도 지역 특성에 맞게 특화했지만 최근 학교 현장에서는 참여 학교, 과정 수만 증가시키고 질적 부분은 감소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현재 경기도형 도제학교를 운영 중인 A고등학교장은 "도제반 학생들에게는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 중요해 자격증 과정이 학교에서 진행되야 하는데 예산 부족으로 방과 후 과정을 진행하기 어렵다"라며 "한정된 예산으로 계속 진행하다 보니 한계에 부딪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부족한 예산은 각 학교 도제교육 담당 교사의 업무 부담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담당 과목 수업을 하면서도 매주 한 번씩 연계 기업을 순회하며 관리, 감독하고 신규업체 선정까지 맡고 있는 상황이다.

B고등학교 도제교육 담당 교사는 "기업이 아직은 도제교육을 모르거나 거부감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 수십 통 전화를 해도 연계 기업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다"면서 "직접 방문하고 수차례 설명해야 한다"고 전했다.

또한 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받는 이론교육의 경우 학교의 시설과 교사 등의 한계로 외부강사 특강 외엔 일반 학생들과 다를 바 없다는 문제도 제기된다.

경기도형 도제학교 1기에 참여했던 졸업생 C씨는 "도제반이어도 학교에서는 국어, 영어 등의 일반 교과목 위주의 공부만 진행됐다"고 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지원 예산은 기본 교육비 약 500만 원에 참여 학생 수에 따라 지원 금액이 추가 지원되는 방식으로 정해져 학교에서는 예산이 줄거나 부족하다고 느낄 수 있다"고 전했다.

안시현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