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2년 4월 13일 일본군이 조선을 침략한 이후 초기의 전쟁 상황은 매우 불리했다. 파죽지세로 일본군은 북상했고, 선조는 한양을 버리고 북쪽으로 피난길에 올랐다. 개전 초 조선의 여러 지역은 일본군의 점령 하에 놓이게 되었던 것이다.

함경도지역은 1592년 6월말부터 1593년 2월말까지 약 8개월간 일본군의 점령을 받았다. 임진왜란 개전초기 선조 임금은 조정의 신하들과 대책을 논의하였다. 명나라에 구원을 요청하고 민심을 안정시키기 위해 광해군을 왕세자로 삼았다. 그리고 1592년 4월 29일 왕자인 임해군을 함경도로, 순화군을 강원도로 보내어 근왕군(勤王軍)을 모집하고 백성들을 위로하도록 했다.

선조는 일본군의 북진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평양을 거쳐 의주로 피난길에 올랐다. 강원도로 갈 예정이었던 순화군은 일본군이 강원도로 침입했다는 소식을 듣고 방향을 북쪽으로 바꾸어 5월 5일 함경도 안변(安邊)에서 임해군과 합류하였다. 이후에도 그들은 일본군의 침입을 피해 끊임없이 북쪽으로 피난갈 수밖에 없었다. 일본군이 황해도를 거쳐 6월 17일 함경도 안변으로 진격한 것이다.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이끄는 일본군은 두 왕자가 북쪽으로 피신 중이라는 소식을 듣고 집요하게 추적하였다. 결국 두 왕자는 함경도 회령부(會寧府)에서 조선인의 반란세력에게 붙잡혀 일본군에 넘겨졌다. 또 함경도에 침입한 일본군은 함경도관찰사 유영립(柳永立)을 체포하고 병사 이혼(李渾)은 반란을 일으킨 조선의 백성에게 피살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함경도를 장악한 일본군의 형세는 오래가지 못했다. 함경도 백성에게 혹독했던 일본군의 군량미 수탈로 인한 인심 이반과 1593년 1월 명나라 군대의 평양성 탈환 등 전쟁의 상황변화로 인해 그들은 함경도 점령을 포기하게 된다. 가토가 이끄는 일본군은 함경도에서 철수하여 1593년 2월 한성으로 퇴각하기에 이른다.

조준호 경기도박물관 수석학예사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