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및 구.군이 지정한 자연상징물 상당수가 중복돼 있어 상징물을 통한 지역특성 반영과

인천시 및 구.군이 지정한 자연상징물 상당수가 중복돼 있어 상징물을 통한 지역특성 반영과 주민정주의식 고취라는 애초 취지가 무색하다.시와 10개 구.군은 지난 78년 당시 내무부 지침에 따라 지자체의 고유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꽃.나무.새.동물 등의 자연상징물을 지정, 홍보해 오고 있다.하지만 급격한 도시화와 인구급증으로 별다른 지역특성을 구분하기 어려워진 인천의 경우 각 지자체마다 엇비슷한 상징물을 급조(?)하는 바람에 중복상징물이 허다한 형편.남동.부평.계양.서구는 은행나무를 구목(區木)으로 공동사용하고 있고 중.동.남구와 옹진군은 소나무(해송 포함)를 중복사용 중이다.꽃의 경우 중.동구가 철쭉, 연수.계양구가 진달래, 부평.서구가 국화를 상징꽃으로 중복지정해 놓았다.상징새도 사정은 마찬가지. 갈매기는 중.동구 및 옹진군의 상징새로 중복돼 있고 비둘기는 남구와 부평구, 두루미는 시와 연수구의 상징새로 함께 쓰이고 있다.반면 고유의 지역특성을 반영하고 이를 상품화에까지 연계하기 위해 만든 캐릭터는 시(미래로), 부평구(소슬이), 옹진군(진이옹이) 등 3곳에 불과하다.이에따라 환경부는 중복된 자연상징물을 바꾸거나 새로 지정토록 최근 전국 239개 지자체에 권고했으나 자연상징물 변경과 재홍보에 필요한 시간적.경제적 소모를 우려하는 일선지자체의 ‘부정론’이 강해 개선여부는 불투명하다.인천녹색소비자연대 최재성 정책실장은 “과거의 획일적인 자연상징물 지침이 지금와서는 아무런 의미를 갖지 못하고 있다”면서 “각 지자체가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토대로 지역특성을 제대로 반영한 상징물이나 캐릭터를 발굴할 수 있도록 자율권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견해를 내놨다. 윤관옥기자/okyun@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