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방대학들이 수도권과 서울 인근으로 캠퍼스를 이전하려는 움직임과는 달리 서울의 대학들이 수도권으로 일부 캠퍼스를 이전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런 가운데 검단신도시개발계획에 포함돼 있는 중앙대학교 인천캠퍼스 조성사업이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었던 것은 바람직한 현상으로 받아지고 있던 터다. 그런데 이런 야심찬 계획이 점점 지지부진하며 자칫 대학 유치 계획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는 우려의 소리가 나오면서 교착상태에 빠지고 있다는 소식이다. 얘기의 중심을 들여다보면 인천시와 입장을 달리하는 중앙대학교와의 의견차이에서 빚어지는 일들이다 인천시가 사업성 확보를 위해 캠퍼스 건립지원금을 줄이고 대학용지 공급가격을 올리자고 제안했지만, 이에대해 중앙대가 거절하면서 수렁에 빠져든 것이다.

이런 가운데 사업 관계기관인 인천시와 인천도시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LH) 모두가 한결같이 빚더미와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어 진작에 이를 풀어나가야 할 주관측들도 한 발씩 발을 빼고 있는 상태로 보인다. 그러니까 중앙대이전에 관한 뭐하나 시원한 구석이 없다는 말이 정답이다. 그렇지 않아도 유정복 인천시장은 지난 26일 중앙대 인천캠퍼스 유치 방안과 계획을 묻는 김진규 시의원 시정질문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연내 중앙대와의 유치조건 협상을 마무리하고 내년 5월까지 검단도시개발사업을 시행할 특수목적회사(SPC)를 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유 시장의 이러한 답변은 지난 민선 5기 때와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으로 원론적 입장만 반복됐다는 지적을 면키 어렵다는 평이다.

무엇보다 시가 검단도시개발사업 SPC를 구성하려면 우선 앵커시설 성격의 중앙대 인천캠퍼스 유치가 우선돼야 하는데 시와 중앙대는 이미 지난해부터 캠퍼스 건립지원금과 토지 공급가격에서 여러 의견차이를 적지않게 보여온 터다. 당연히 몇 번 안갖은 협의가 멈춰설 수 밖에 없었다. 물론 인천시가 아무런 노력을 보이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지난해 SPC 구성을 위해 건설회사 수 십곳과 접촉했지만 부동산 및 건설경기 침체 등을 이유로 결국 실패한 것을 우리는 기억한다. 구체적으로 시는 사업성 향상이 필요하다며 중앙대에 대학 캠퍼스 건립 지원금을 당초 2천억 원에서 1천억 원으로 축소했다. 그리고 ,약 33만㎡ 대학용지 공급가격을 3.3㎡당 149만 원에서 307만 원으로 올리자고 제안했지만 중앙대가 발끈한 탓이다.

타협이란 말 자체가 아쉬운 상황이다. 양보할 것은 양보하고 얻어야 할 것을 얻어야 하는데 이런 식의 타렵이 성공하지 못한 이유에는 자기 것만 고집해서 생기는 현상이다. 다행히도 지난 5월 중앙대와의 기본협약 기간을 1년 연장했지만 들리는 얘기로는 여전히 양측 협의는 진전이 없는 상태다. 이런 인천시의 입장에 유연하지 못한 중앙대도 다르지 않다. 인천캠퍼스 건립을 후순위로 미뤄놓은 듯한 행보에서다. 선순위에 놓고 일을 진척해 나가도 어려울 판에 중앙대는 최근 검단 캠퍼스 토지 매입을 위해 매각하려했던 안성캠퍼스를 본교와 통합해 서로 다른 전공분야를 둔 개별 대학으로 운영하고 있고 최근 기존 서울캠퍼스에도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얘기는 여전히 겉돌고 있기만 하다. 결론은 재정이다. 얽혀있는 기관들이 빚더미에 앉아 있는한 해결되기 어렵다. 유시장과 박용성 총장의 지혜로운 담판이 아쉬운 지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