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지난 22일 김포 해병대 애기봉 전망대 등탑을 철거했다고 밝혔다. 하성면 가금리의 애기봉에 1971년 세워진 18m높이의 이 등탑은 매년 12월 성탄절을 앞두고 점등식때마다 논란을 빚어온 가운데 43년만에 사라졌다. 북한은 이 등탑이 대북선전 시설이라며 철거를 주장해 왔고 2010년에는 포격하겠다고 위협해 김포 주민들을 불안과 공포에 떨게 했다. 애기봉 등탑 점등은 2004년 6월에 군사분계선 지역에서 선전활동을 중지하고 선전 수단을 모두 제거키로 한 2차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 합의에 따라 중단했다. 그러나 2010년 천안함 피격사건과 연평도 포격 도발사건이 발생하자 그 해 12월 종교단체의 등탑 점등행사를 다시 허용해 대북 심리전을 재개한 듯 했다. 지난 2012년 김포 지역주민과 시민단체들의 반대 저지를 뚫고 영등포교회와 기독교 단체들이 마지막으로 3만여개의 전등에 불을 밝힌이후 영원히 소등된채 이번에 완전히 사라졌다. 국방부에서는 안전진단서 D급 판정을 받은 시설로 강풍 등으로 구조물이 넘어져 관광객의 안전을 해칠 수 있다고 판단해 철거했다 하지만 최근 남북관계 등을 고려해 철거한 것이 아니냐는 국민들의 시선도 없지는 않다.

일부 보수단체들이 오는 25일 파주 임진각에서 대북 전단(삐라)을 넣은 풍선을 띄우는 것을 강행하겠다고 선포하자 정부에서는 휴전선 인근에서의 전단 살포가 법에 위촉된다면 저지 여부를 검토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항공법상 대북 전단을 넣은 풍선은 초경량 비행장치에 포함되기 때문에 정부 허락없이는 날릴 수 없다는 것이다. 지난 10일엔 연천 합수리 일대에서 대북 전단 살포 강행 때에는 제제 규정이 없어 전단 살포를 막을 수 없다며 민간단체에 자제요청만 한 상황과는 사뭇 바뀐 대응이다. 북측에서는 이 풍선을 향해 고사총탄을 발사했고, 급기야 총탄 수 발이 민통선 일대 우리 군부대 주둔지와 중면 일대 민가쪽으로 떨어져 주민들을 공포에 떨게한 돌발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연천지역을 찾는 관광객들의 발길이 크게 줄었다. 이달 말에 개최될 전곡리 구석기 축제에도 악영향을 줘 지역경제와 생계에 타격을 줄 것으로 우려한 주민들은 “이 지역민 아닌 외부 사람들이 대체 누구를 위해 대북전단을 살포하는지 모르겠다”며 전단 살포 중단을 거듭 호소 중이다. 파주시민들과 상인들도 25일 보수단체의 삐라 살포 강행을 실력 저지키로해 물리적 충돌까지 예상된 가운데 경찰이 행사를 원천봉쇄 할 것인가가 주목되고 있다.

북한 정권과 김정은 독제체제를 인정하거나 옹호하는 게 아니다. 엄연히 대한민국의 주적이고 특히 북한주민의 인권문제에 대해선 유엔에서 김정은을 국제 형사법정에 세우려고 추진하고 있는 판인데 말이다. 그러나 남측에서 오는 30일 열자고 제의한 2차 남북 고위급 접촉을 앞두고 있고 남북 평화 관계를 진전시키기 위한 몇년만에 맞은 좋은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어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보수단체들이 당분간 만이라도 전달살포 중단을 진지하게 검토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남북은 아직도 휴전상태로 군사분계선을 가운데두고 군사대치 중이다. 그러나 평화협상 테이블에 앉기위해서는 남북이 서로 자제하는 분위기를 만들 필요도 있다. 국가는 대한민국의 영토를 수호 하는 것이 당연한 의무지만 대한민국의 국민인 파주와 연천 주민들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고 지켜주는 것도 국가의 중대한 역할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