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일보에 게재된 한 장의 다소 썰렁한 사진 한장이 평택 브레인시티의 현실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부지 중 일부가 사업지구 지정 7년이 지났는데도 아무런 진행 없이 방치돼 있는 그림이다. 이렇게 평택 브레인시티가 사업추진 이후 7년째 답보상태로 놓여 있으면서 주민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라는 얘기다. 한발치도 못 나가며 게걸음을 해 온 해당사업은 시행사와 평택시, 시의회, 성균관대학교, 도, 주민단체 등 관련기관의 의견마저엇갈리고 있다. 도무지 앞이 안 보이는 형국이다. 결국 일각에서는 사업추진을 위한 방향이 정리되지 않으면 기존 사업을 모두 철회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극약처방까지 논의되고 있을 정도다.

어떻게 할 것인가. 극약처방이 빠른 길인지 아니면 주민들에게 앞길을 터 줄 묘수를 마련해야 하는 것인지 결정만 남은 셈이다. 실제로 브레인시티 설립부지인 도일동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얼마 전 작고하기 일주일 전 마지막으로 한 일이 토지 보상과 평택 브레인시티 추진 등에 대한 민원을 넣는 일로 채워져 있었다. 그가 이러한 브레인시티와 싸워온 시간만 해도 지난 7년간이다. 하지만 생전에 그렇게 소원하던 착공은 그림자도 밟아보지 못했다. 어떤 주민은 해당 동네에 살면서도 브레인시티에 관련된 설명회를 단 한 차례도 듣지 못했다. 오히려 본보 취재진이 브레인시티에 대한 질문을 하자 사업이 추진되는 것은 맞냐는 반문으로 대신했을 정도다.

그러니까 자기들만의 브레인시티였고 그들만의 행정추진이 이렇게 주민들을 무기력하게 만든 셈이다. 즉 자기 소유의 토지에 무엇이 어떻게 들어서는지도 모르고 있다가 지금의 지경에 까지 이른 셈이다. 어제가 지방자치의 날이었지만 그 취지가 무색해 지는 순간이다. 주민참여의 행정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그럼에도 지자체에서 사업을 한답시고 사람들만 발품을 팔면서 왔다갔다만 반복했지 제대로 된 설명하나 없었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 이 판에 토지 보상가를 운운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할 정도라면 할 말도 없다.

알다시피 이런 평택의 브레인시티 사업은 시 최대 현안사업이다. 482만4천912㎡ 규모의 부지에 성균관대학교는 물론 산업단지와 연구개발단지 그리고 이들이 거주할 주택단지 등이 들어서게 되는 초대형 첨단복합단지 조성사업이었다. 무려 들어가는 비용만 해도 1조6천558억원에 달하는 지자체로서 보기 드문 대형사업이었다. 물론 평택시 역시 처음에는 이렇게 최초로 산·학·연이 연계된 추진 도시를 조성해 11조가 넘는 생산유발 효과와 10만에 육박하는 고용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면서 온 힘을 기울였다. 하지만 4년 전 승인 이후 자금조달과 주민보상 등에 가로막혀 무려 7년이란 시간만 보내왔다. 당장에 법원의 집행정지 처분을 받아 사업재추진의 기회를 얻은 상태라지만 특단의 결정만이 주민도 살고 평택시도 살길이라는 것을 명심하기 바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