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행리단길③] 자고나면 치솟는 임대료에 저가프랜차이즈 공세까지… 기존 상인들 "못 버텨" 한숨

2024-01-29     강현수
수원 행리단길에 입점한 대형 프렌차이즈 커피 전문점. 사진=임채운기자

 

SNS 등을 통해 입소문을 타며 명소로 거듭난 수원의 행리단길이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위험지표 평가 ‘경계’ 단계에 진입한 원인 중 하나로 급격한 임대료 상승이 지목된다.

29일 수원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최근 3년간 행리단길(팔달구 장안동·신풍동 일원) 상권의 임대료 상승률은 2021년 16%, 2022년 9%, 2023년 20%로, 평균 15% 올랐다.

이중 음식점의 임대료가 2021년 31%, 2022년 5%, 2023년 36%, 평균 24%로 증가폭이 가장 컸다.

카페의 경우 2021년 0%, 2022년 19%, 2023년 17%로 평균 12% 증가했다. 이 외 기타 업종은 2021년 16%, 2022년 3%, 2023년 8%, 평균 상승률 9%로 집계됐다.

행리단길의 지난해 신규 입점 상가 평당 임대료는 13만4천 원으로, 지난해 이전 평당 9만4천 원이었던 것에 비해 43%가량 상승했다.

인근 다른 구역의 평균 임대료 상승률과 비교해 보면 옛 경기도청사(팔달구 매산동 일원) 0%, 공방거리(팔달구 남창동 일원) 5%, 통닭거리(팔달구 남수동·팔달로1가 일원) 12%, 벽화거리(팔달구 북수동 일원) 13%로, 행리단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리단길 상인들은 이 같은 임대료 상승에 큰 부담을 느낀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가게를 내놓고 싶어도 비싼 임대료에 수요가 없으니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영업을 이어가거나, 아예 행리단길을 떠나는 경우까지 생긴다고 말한다.

이 과정에서 업종을 전환하는 일까지 빈번해지면서 젠트리피케이션이 본격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카페를 운영하는 A(51)씨는 "임대료가 많이 치솟으면서 기존에 있던 상인들이 밖으로 내몰리는 상황"이라며 "임대료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가격을 높일 수밖에 없고, 유동인구가 늘었다고 해도 지금보다 손님과 매출이 더 많아야 가게를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디저트 가게 직원 B(33)씨는 "경기 불황을 못 버티고 나가는 가게들도 있다. 가게가 나가면 임대료를 낮춰서 다시 세를 받든가 해야 하는데 건물주들이 임대료를 낮추지 않는다"며 "결국 공실인 상태로 방치되는 가게가 늘어날수록 거리와 상권을 죽이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고 털어놨다.

최근 다양한 요인으로 수원시 행리단길이 유명세를 타며 '핫플맛집'이 돼가는 가운데 28일 오전 수원시 행리단길에 저가 커피를 앞세운 프렌차이즈 카페가 들어서 있다. 사진=임채운기자

이와 함께 최근 저가 커피 등을 내세운 대형 프랜차이즈 카페마저 행리단길에 진입하면서 상인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카페 사장 C(55·여)씨는 "행리단길에 프랜차이즈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대기업이 운영하는 저가 브랜드의 음식점과 카페가 들어오면 가격 경쟁력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며 "골목상권이 잠식당하게 될 상황을 많은 상인들이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행리단길의 프랜차이즈 비율은 2021·2022년 각각 5%였다가 2023년 6%로 소폭 늘었다.

이에 대해 수원시 측은 ‘지역상생구역’ 지정 등 시 차원의 지역 상권 보호 제도와 함께 임대인·상인들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수원시 관계자는 "지역상생구역 지정의 궁극적인 목적은 갑작스러운 임대료 상승을 막아서 기존의 상가들이 빠져나가는 일을 방지하는 것"이라면서도 "사실 관(官)의 개입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역 건물주 임대인, 상인들, 주민들 모두가 힘을 모아야 젠트리피케이션을 방지하고 지역을 발전시킬 수 있다"고 평가했다.

강현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