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인사이드] 광역노선 닿자 상가 몰렸다… 서울 빨대효과 아직은 미미

② 광역교통망과 지역소멸

2024-07-23     강찬구·강민구

 

광역교통망이 닿으면 지역에는 어떤 변화가 생길까. 경기지역 수도권광역전철을 예로 데이터분석을 시도했다.

먼저 광역전철역이 개통된 전후 인근 지역 변화를 살펴봤다. 분석을 위해 경기도내 시군에 위치한 여러 노선의 역사 위치와 개설 시기를 전수조사해 315건을 확보했다. 이어 경기도 시군 내 읍면동별로 총 사업체 수와 일상적 소비를 대표하는 도소매업·숙박음식점업 사업체를 2012년도부터 수집해 총 3천 854개의 데이터를 모았다. 사업체 데이터는 총 13개 시(수원·안산·안양·양평·여주·오산·용인·의정부·이천·파주·평택·하남·화성시)에서 취합됐다. 이후 통계프로그래밍언어 R을 활용해 광역전철 역사 개통 전후 사업체 수 변화를 비교했다.

광역교통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도 들여다봤다. 이는 지난 5월 경기도가 ‘경기데이터드림’에 공개한 통신사 생활이동인구 데이터를 활용했다. 이를 통해 지하철·노선버스·기차 등 광역교통수단으로 서울을 오간 사람들의 수와 성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로써 광역교통망을 통해 일어나는 경기지역의 경제적 변화와 경기도민 생활이 서울과 맺고 있는 관계를 엿볼 수 있었다.

사진=중부일보DB

분석결과 광역교통망이 지역에서 나타내는 효과는 양상이 복잡하고 다양했다. 광역교통망 확대가 경기지역 상권 증가와 연관성을 보였지만 소비력이 서울로 흘러들어가는 통로도 되고 있었다.

또 경기지역 상권·사업체가 양적으로 증가했지만 여전히 직장과 학업 등을 위해 서울로 가야 하는 사람이 많고 서비스·문화 등을 서울에서 소비하려는 수요도 상당했다. 서울의 공간이 한정된 만큼, 광역교통은 이들이 경기도에 거주하며 서울로 통행하도록 하는 수단이 되고 있었다. 실제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서울 인구는 1천20만여 명에서 966만여 명으로 줄었지만, 같은 기간 경기도 인구는 1천309만 명에서 1천397만 명으로 늘었다. 이는 지역이 일자리·교육·서비스 등의 수요를 스스로 흡수할 수 있는 ‘자족성’을 갖춰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김진유 경기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교수는 광역교통과 지역소멸의 관계에 관해 "하기 나름"이라고 잘라 말했다. 김 교수는 "교통망, 예컨대 GTX를 놓는 것만이 아니라 산업 재배치 등 중심성을 완화하는 전략이 동반돼야 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고 말했다.

팩트인사이드팀(강찬구·강민구기자, 신지현·배상일 영상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