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련 소음부터 오폭 공포까지… 경기북부 민심 악화일로
군사시설 밀집돼 개발마저 제한 해당 지자체장 정부 대응책 요구
북한과 맞닿은 경기북부 주민들이 최근 포천시 전투기 오폭사고와 같은 지속된 안보희생에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접경지 특성상 지역 내 다수의 군사시설이 들어선 데다, 인근 부지의 개발도 제한돼 주민들은 수십 년간 큰 불편을 겪어왔다.
여기에다 군사훈련으로 인한 소음·먼지 문제와 남북 관계 악화 시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들의 몫으로 돌아온다.
10일 중부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6일께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 낭유대교 인근 노상에 폭탄이 떨어져 다수의 주민이 다치는 사고(중부일보 3월 7일자 1면 보도)가 발생했다.
당시 전투기 조종사가 표적 좌표를 입력하는 과정서 실수를 저질러 오폭된 것으로 드러났다.
그간 포천시에선 군부대 훈련 진행서 발생한 사고가 민간인에게 피해로 이어졌다.
대표적으로 지난 2019년과 2020년에 영평사격장에서 쏜 총탄이 인근 야산 산불의 원인이 됐고, 2023년께는 사격장에서 날아온 탄두가 43번 국도를 달리던 민간인 차량 앞 유리에 박히기도 했다.
이에 지승룡 포천 이동면장은 "그간 마을 인근 군 사격장과 비행장에서 발생한 소음이 일상생활에 불편을 줬다"면서 "이번 오폭 사고 이후 주민들은 헬기 소리에도 벌벌 떨고 있다"고 말했다.
파주시도 상황은 비슷했다.
남북관계 악화로 지난해 7월부터 대남 확성기 소리가 끊이질 않고 있어서다.
특히 소음 피해가 가장 큰 대성동 마을 주민들은 확성기 소리를 ‘귀신 곡소리’라고 부른다. 이들은 수개월간 이어진 확성기 소리 탓에 일상생활이 불가능하다고 호소한다.
이재희 평화위기파주비상행동 대표는 "파주시에 거주한 지 20년이 지났지만 이렇게 큰 피해를 겪은 적은 처음"이라며 "피해 원인인 대남 확성기가 중단될 수 있도록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가 바뀌어야 하는 데다, 대북 확성기도 당장 멈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상황이 이렇자 백영현 포천시장과 김경일 파주시장은 정부에 관련 대응책을 요구하고 있다.
백영현 시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포천시에 위치한 3개 대형 사격장을 1개로 통합 운영해 총·포탄 관련 사고를 예방해야 한다"며 "70여 년간 피해를 감수해 온 포천 시민들을 위해 국가방위산업단지를 지정해 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경일 시장은 지난해 11월께 소음 피해 현장을 방문해 "지자체장으로 분명한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정부가 대북정책 기조를 바꿔 주민들이 불안에 떨지 않을 수 있도록 계속해서 요구하겠다"고 했다.
이외에도 연천군은 최근 인근 군부대로 규제·소음·환경·안전 등의 피해 보상을 정부에 요구하고자 관련 연구 용역을 마쳤다.
용역 결과를 토대로 군민들의 지원·보상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명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