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人터뷰] 정현호 양주시의원 "장사시설 추진은 내년 선거의 필승 카드"
GTX-C 노선 양주역 정차가 시민 전체 편익에 부응 시 외곽 지역 인프라 부족 문제에 관심 필요하다 대통령 탄핵 사태 책임져야 하지만 증오의 정치는 중단돼야
정현호 양주시의회 의원(국민의힘)이 중부일보와의 인터뷰를 통해 양주시 현안에 관한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GTX-C 노선의 덕정역에 정차가 확정된 가운데, 양주역을 정차역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과 논리를 그는 개진했다.
논란을 빚고 있는 양주시 공동형 복합 장사시설 건립에 대해서도 의견을 밝혔다. 방성1리 현 부지보다 더 적합한 곳은 없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나아가 그는 장사시설 추진이 내년 지방선거 국힘의 필승 전략이라고까지 전망했다. 민감한 이슈가 화제에 올랐지만 그는 거침없이 답변을 이어갔다. 다음은 일문일답.
-양주역과 덕정역의 거리가 가까운 편이다. GTX 정차역을 추가로 설치하는 데 국토부의 입장이 긍정적일 거 같지 않다.
"의정부역과 양주역의 거리보다 더 가까운 구간에 정차역이 2개 있는 사례도 있다. 논리만 잘 개발하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 실제로 다른 도시에서 그렇게 한 경우가 노선도에 나와 있다."
-양주역에 정차할 때의 효용과 시민 편익을 계산한다면?
"시민 대부분이 양주역 정차를 선호할 것으로 본다. 덕정역 한 곳으로 고정되면 상당 수 시민의 불편이 예상된다. 노력해서 해법의 단초를 만들어보겠다."
-정차역 추가는 역 신설을 의미한다. 시 예산이 소요될 여지는 있을 텐데 이에 대한 대책은?
"역 신설에 필요한 예산은 약 200억 원으로 추정된다. 지자체가 요청하는 사업이라면 양주시가 부담해야 할 수도 있고, 국토부의 정책 방향에 따라 국비로 추진될 수도 있다. 예산 부담의 주체는 접근 방식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시의원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나.
"정차역 유치를 위해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양주1동 주민들의 서명을 거의 다 받았고, 백석과 광적 지역에서도 추진하고 있다. 현재까지 수천 명 수준의 시민이 참여했고, 그 숫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도대체 GTX-C 노선 공사는 왜 지체되고 있는 건가.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국토부 지침에 따라 노선 일부를 지하화해야 한다는 조건에 반발하며 착공을 미루고 있다. 이렇게 지체되고 있는 상황이 하나의 틈새다. 양주역 유치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결국 시의 재정 압박으로 돌아올 수 있는 구조 아닌가.
"직접적인 예산 투입 대신 다른 방식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예컨대 사업시행자에게 역세권 일부를 개발할 수 있는 권리를 주는 방식이다. 해법은 찾으려고 노력해야 찾아진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방성1리 장사시설 논란도 뜨거운 이슈 중 하나다. 회천과 옥정 신도시 주민의 반대가 만만치 않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이 이슈가 국민의힘에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을까.
"오히려 그 반대다. 장사시설 건립에 찬성하는 시민이 더 많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국힘 입장에서 내년 선거의 필승 전략이 될 수도 있다."
-지나치게 낙관적인 생각 아닐까.
"40명의 통장, 80명의 농협조합원이 모인 자리에서 물어봤다. 현 부지 건립에 반대하는 사람이 한 명도 없었다. 방성1리 부지는 산속 깊은 곳이라 외부와 차단돼 있다. 이미 수십 년 전부터 불법적인 장묘시설이 들어섰던 곳이기도 하다. 지역 민심을 수차례 확인한 결과 찬성 여론이 압도적이다. 내년 지방선거의 필승 카드라고 감히 생각한다."
-인구는 늘어나지만 도시의 정주 여건이 그에 걸맞게 개선되고 있는 것인지 의문이다.
"상수도가 없는 마을이 있다. 지역별로 기반 시설의 격차가 심하다. 시의 외곽 지역은 여전히 상하수도, 도시가스 등 기본적인 인프라가 부족하다. 수치상 보급률은 90%를 넘지만, 실제로는 인구가 조밀한 신도시가 그 수치를 끌어올린 결과다. 리(里) 단위로 들어가 보면, 수도가 안 들어간 곳이 너무도 많다. 몇 가구 안 되는 마을이라도 최소한의 기반시설은 갖추도록 해야 한다. 30가구 이상 마을에만 지원해왔던 기준도 그 이하로 낮춰야 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임박한 대통령 선거로 양주 정치권도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게 됐다. 더구나 지방선거가 1년 앞으로 다가왔다. 국힘에 큰 타격이 불가피한 것 아닐까.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와는 다르다. 이번엔 탄핵 반대 집회에 나온 인원이 훨씬 많았다. 당연히 정치적 타격은 있다. 하지만 걱정만 할 게 아니라 지역 현안을 잘 풀어나가는 데서 복원의 모멘텀을 찾아야 한다."
-헌법을 위반해 탄핵된 대통령을 계속 지지하는 움직임이 과연 옳은가.
"잘못한 건 잘못한 거다. 응당한 처분은 피할 수 없다. 그러나 정권이 바뀔 때마다 증오의 정치가 계속되어선 안 된다. 야당도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한기홍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