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버스노사 단체교섭 최종 결렬... 47개사 1만여대 버스 멈추나
버스노조, 15일 지노위 조정 신청 이달 말까지 조정 불발되면 총파업 내달 1일 첫차부터 1만여 대 멈출 듯
경기도 내 47개 버스업체의 노사 단체교섭이 최종 결렬되며 노동조합 측이 대규모 파업을 거론하고 나섰다.
경기도버스노조협의회는 향후 노동쟁의 조정 신청 이후 다음달 1일 첫차부터 버스 파업에 들어가겠다고 예고,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경기도민의 불편이 우려된다.
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 경기도중부지역버스노동조합, 경기도지역버스노동조합으로 구성된 경기도버스노조협의회(경기버스노조)는 사용자인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과 단체교섭을 수차례 진행했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해 단체교섭이 최종 결렬됐다고 3일 밝혔다.
앞서 지난달 29일과 지난 1일 진행된 민영제와 준공영제 공동 노사교섭이 모두 결렬됐다. 이에 경기버스노조는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 오는 15일 노동쟁의 조정 신청을 접수하기로 이날 결의했다.
이후 23일 조합원 전원이 참여하는 총파업 찬반투표와 각 지부 파업 결의대회를 진행한 뒤, 30일까지도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총파업을 실시할 방침이다.
현재 경기버스노조는 파업 돌입시 10월 1일 첫차부터 1만여 대의 경기도 버스가 멈출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버스노조는 민영제 노선의 탄력적 근로시간제가 일 17시간 이상의 과로를 낳는 원인이라고 주장하며 준공영제와 같이 2교대제로의 근무형태 변경과 더불어 동일임금 보장을 요구하고 있다.
또 오는 2027년까지 공공관리제를 전체 노선으로 확대하기로 한 노·사·정 합의를 경기도가 재차 확약해 줄 것과 더불어 2026년까지 서울시 버스 임금인상액에 준하는 임금인상률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은 민영제 노선의 현행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유지하면서도 임금동결을 주장하며 경기버스노조 측의 요구사항을 모두 거절해 노사의 의견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이기천 경기도버스노조협의회 위원장은 “경기도가 야심차게 시범 실시한 주 4.5일제와 이재명 정부의 ‘동일노동 동일임금’ 법제화 움직임과는 완전히 동떨어진 현장이 경기도 버스”라며 “차별적 처우에 대한 개선안과 공공관리제 조기 전면시행에 대한 사용자와 경기도의 확답이 없으면 버스 파업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버스노조에는 47개 업체와 1만여 대의 버스가 소속돼 있고, 이중 민영제 버스는 7천 100여 대, 준공영제 버스는 2천 300여 대, 시외버스는 800여 대다.
최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