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린 월급 받을 수 있을까”… 추석 앞두고 임금체불 피해자들 막막

노동부 경기지청 체불 신고센터 임금·퇴직금 밀린 근로자들 북적 해마다 늘어나 작년 30만 명 육박

2025-09-24     박종현·최민서
수원시 장안구 고용노동부 경기지청에서 관계자가 '추석 명절 임금체불 예방·청산 집중지도기간' 관련 포스터를 게시하고 있다.  사진=중부일보DB

“추석까지 곤궁히 살 수는 없어 임금체불 신고하러 왔습니다.”

23일 수원시 장안구에 있는 고용노동부 경기지청. 이곳에 마련된 ‘추석명절 임금체불 신고센터’에 신고를 마치고 나온 A(49)씨의 하소연이다.

A씨 등은 지난해 4월부터 최근까지 경기도 내 한 건설업체와 프리랜서 계약을 체결해 일을 해왔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임금이 체불, 결국 함께 일하던 14명이 받지 못한 임금만 총 3억4천여만 원 어치에 달하는 상황이다.

A씨는 “같은 업종이라 신고하기 꺼려졌지만, 결국 추석 앞두고 신고를 접수할 수밖에 없었다”고 토로했다.

이날 신고를 접수한 B(65)씨 역시 두 달 치 월급과 퇴직금 등 약 1천여만 원을 받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항암치료를 하며 일을 쉬던 중 생계비를 벌기 위해 아픈 몸을 이끌며 금형 일을 재시작했음에도 이런 일이 벌어졌다는 데 안타까움을 표했다.

B씨는 “지인인 사업주를 믿고 일을 시작했는데도 임금이 체불됐다”며 “처벌은 원하지 않지만 돈이라도 받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밖에 이날 신고센터에는 명절을 맞아 고향을 찾으려 했던 중국인 등 다양한 임금체불 피해자들이 신고를 접수하는 모습이었다.

민족 대명절 추석을 앞두고 밀린 임금을 받지 못한 노동자들의 속앓이가 이어진다. 고향 방문의 설렘은커녕 임금 체불로 인한 생계 부담에 하소연이 잇따른다.

24일 중부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임금체불 근로자는 2022년 23만8천 명, 2023년에는 27만5천 명, 2024년에는 28만3천 명으로 매년 늘고 있다. 체불액 역시 같은 기간 1조3천472억 원, 1조7천845억, 2조448억에 달하며 3년 사이 51%가량 증가했다.

특히 고용노동부가 공개한 임금체불 현황에서 올해 7월까지 체불된 경기도 내 노동자의 임금은 3천540억 원으로, 서울시(3천434억 원)보다 체불 규모가 컸다. 임금을 받지 못한 도내 노동자는 4만3천200여 명이었다.

고용노동부는 매년 설날, 추석 등 명절을 앞두고 ‘임금체불 집중청산기간’을 운영하고 있지만, 임금체불액은 해를 거듭할수록 불어나고 있다.

올해는 늘어나는 체불액과 피해자들에 대비해 운영기간을 기존 3주에서 6주로 확대, 전용 창구를 운영하며 근로감독관에게 직접 상담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유관기관과 연계해 현장방문 및 청산을 해결해 나갈 예정”이라며 “선제적 모니터링과 체불 예방 노력을 병행해 악의적인 체불 사업주에 대해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