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민이 이뤄낸 결실” 연천군,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지역 선정

2025-10-20     이석중
지난달 25일 연천군청에서 열린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유치 추진위원회’ 발족식에서 김덕현 연천군수(앞열 왼쪽 네 번째)와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천군청

연천군이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하는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에 최종 선정되며 지역사회가 들썩이고 있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어려움을 겪어온 접경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계기가 마련됐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0일 농림축산식품부는 2026∼2027년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 대상지로 경기 연천군을 비롯해 강원 정선, 충남 청양, 전북 순창, 전남 신안, 경북 영양, 경남 남해 등 7개 군을 선정했다.

이 가운데 연천군은 경기도에서 유일하게 이름을 올리며, 지난 4년간 이어진 군민과 행정, 경기도의 협력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으로 평가된다.

연천군은 공모 초기부터 ‘군민 참여형 행정’을 핵심 가치로 삼았다. 읍·면 단위 간담회와 주민설명회를 통해 사업 취지와 효과를 공유하고, 1만 8천여 명이 참여한 서명운동을 벌이며 군민의 뜻을 모았다.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필요하다’는 군민의 염원이 행정의 추진력과 결합해 전국 유일의 접경지역 선정이라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번 사업을 통해 연천군은 오는 2026년 1월부터 2027년 12월까지 2년간, 군에 30일 이상 거주한 모든 군민에게 매월 15만 원의 연천사랑상품권을 지급한다. 총사업비는 약 890억 원 규모로, 경기도가 지방비 부담금의 50%를 도비로 지원하기로 하면서 군의 재정 부담도 크게 완화됐다.

현장에서도 기대감이 높다. 청산면에서 농사를 짓는 A씨(70대)는 “청산면 시범사업 때도 지역경제에 큰 도움이 됐다”며 “기본소득으로 받은 연천사랑상품권은 농자재나 식당 이용 등 대부분 지역 안에서 쓰이기 때문에 돈이 돌고, 결국 마을이 살아난다”고 말했다.

그는 “도비 지원이 확대되면서 군 재정 부담이 줄고 인구감소 속도도 늦출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통시장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B씨(50대)도 “자영업자와 상인들은 모두 반기고 있다”며 “청산면에서 먼저 했을 때 외식이 늘고 상권이 활기를 찾았다. 이번엔 군 전체가 대상이라 효과가 훨씬 클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오늘 소식이 알려지면 시장 상인들이 다 좋아할 것”이라고 웃었다.

김덕현 연천군수는 “이번 성과는 군민과 행정이 함께 만들어낸 결과”라며 “연천이 농어촌기본소득의 전국 확산을 이끄는 모델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군민이 체감하는 변화를 만들기 위해 앞으로도 행정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