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 및 자립체계 지원 토론회

2025-10-22     정현·하재홍
21일 안양시청 3층 상황실에서 열린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 및 자립체계 지원 토론회 참가 패널들이 각자의 의견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독자제공

안양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21일 오후 6시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 및 자립체계 지원 토론회를 개최했다.

안양시청 3층 상황실에서 열린 이번 토론회는 경계선지능인(느린 학습자)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사회참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행사 발제는 최창호전 연성대학교 평생교육원장(보건의료행정학과 교수)이, 좌장은 문명순 안양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회소통분과위원장이 맡았다.

경계선지능인은 의학적 심리학적 분류 용어로, 지적장애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일반적인 학습 및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지능지수(IQ) 71~84사이의 사람들을 지칭한다.

학생의 경우, 특수교육이 필요한 대상은 아니나 학습 수행에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해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토론회 패널로는 장경술 안양시의원(보사환경위원회 위원), 이기학 한국장애인복지연구소장, 김은희 호서대학교 창의융합학부 겸임교수, 이채현 경기지속가능발전협의회 형평성·교육위원회 부위원장, 박진선 씨(인턴형 일 경험 프로그램 참여 청년)가 참석했다.

장경술 의원은 “경계선지능인은 장애인으로 분류되지 않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비장애인으로서 사회에 적응하기도 어려운 이들”이라며 “앞으로는 평생교육이라는 틀 안에서 경계선지능인의 학습과 성장뿐 아니라 일사생활의 자립, 사회적 관계의 회복, 그리고 가족 지원체계까지 아우를 수 있는 종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기학 소장은 “경계선지능인은 오랫동안 제도 사각지대에 방치됐다”면서도“연구와 시범사업, 정책적 논의는 이들의 자립 가능성과 제도화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가차원의 지원법 제정, 평생교육센터의 자립지원센터로 전환, 고용지원 등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김은희 교수는 “가족지원 및 복지적 지원, 교육지원이 더 다양해지고 지속적이며 일관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전문가에 의한 수준별 교육을 제공하고 관련 부서 및 기관 간 협력을 통한 조기선별 및 지원 시스템이 구축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채현 부위원장은 “현재까지 정책 설계는 전문가 주도 구조였다”며 “경계선지능인 본인과 가족의 목소리를 반영한 인터뷰 사례집 및 설문조사 기반 데이터 축적이 정책 현실성과 수용 가능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진선 씨는 “사회적협동조합의 인턴형 일경험 프로그램 참여는 긍정적인 경험이었지만 실제 취업으로 이어지기는 어려웠다”면서 “장애인과는 달리 국가에서 지원하는 제도가 없기에, 일반 청년들과 같은 기준으로 경쟁해야하는 어려움이 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