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종식 “인천 전력자립률 243%→181% ‘추락’… 수도권 전력 ‘경고등’”
수도권 전력공급의 ‘심장’ 역할을 해온 인천의 전력 생산 능력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한때 전기를 넉넉히 생산해 서울·경기에 공급하던 인천의 ‘잉여 전력’이 3년 만에 3분의 1 이상 사라지며 수도권 전력 수급에 ‘경고등’이 켜졌다.
2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이 한국전력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인천의 연간 발전량은 2021년 6만506GWh에서 2023년 4만8천195GWh로 20.3% 감소했다. 2024년 4만9천725GWh로 소폭 반등했지만, 여전히 최고치 수준에는 한참 못 미쳤다.
주요 원인은 영흥화력 1·2호기의 가동 중단이다. 2021년 말부터 환경설비 개선공사로 두 호기가 멈추면서, 영흥화력 발전량이 2021년 2만9천123GWh에서 2023년 2만2천175GWh로 약 7천GWh 감소했다.
반면 전력 사용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인천의 연간 전력 사용량은 2021년 2만4천901GWh에서 2024년 2만5천964GWh로 늘었다. 올해 8월까지 누적 사용량만도 1만7천600GWh에 달해 연말까지 증가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생산이 줄고 소비가 늘면서 인천의 전력자립률은 2021년 243%에서 2023년 186.3%로 떨어졌고 올해 8월에는 181%까지 추락했다.
그 결과, 인천이 자체 소비 후 서울·경기에 공급할 수 있었던 잉여전력은 3년 만에 3만5천605GWh에서 2만3천761GWh로 1만1천844GWh(-33.3%) 감소했다. 이는 신형 원전 1기가 생산하는 전력량과 맞먹는 규모다.
현재 서울과 경기는 사용하는 전력의 47.8%를 인천에서 공급받고 있어 인천의 전력난이 수도권 전체의 전력 위기로 번질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미 일부 지역에서는 전력 공급 한계가 현실화됐다. 송도와 연수구 일대에 전력을 공급하는 신시흥변전소의 예비율은 2021년부터 ‘0%’에 그쳐 최근에는 송도에 투자 의사를 밝힌 대기업들이 한국전력으로부터 ‘전력 공급 불가’ 통보를 받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문제는 앞으로가 더 심각하다는 점이다. 인천은 도심 포화로 인해 대규모 신규 발전소 건설이 어렵고 첨단산업 유치로 인한 전력 수요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발전소 포화·수요 폭증·첨단산업 전력난이라는 ‘삼중고(三重苦)’가 우려된다.
허종식 의원은 “인천의 발전량 급감과 소비량 증가는 단순히 지역 자립률 하락을 넘어 수도권 전체 전력망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라며 “대규모 발전소 추가 건설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만큼 전력망을 적기에 확충하고 인천의 강점인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 속도를 대폭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