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AI 이용한 시험 부정행위 막을 방안 나와야
국내 유명 대학 학생들의 시험 부정행위가 논란이 되고 있다. AI의 원리를 배우는 챗GPT 과목의 수강생들이 AI를 이용해 부정행위를 시도한 것이다. 이 과목은 수강생이 600여 명에 이르는 대형 강의로 비대면 온라인 시험으로 치러졌다. 부정행위가 발생할 가능성이 충분히 예견된 시험 방식이었다. AI를 다루는 교과목에서 이를 악용한 부정행위라는 교육적 딜레마가 발생한 것이다. 학생들의 도덕적·윤리적 의식 결여도 문제지만 일부에서는 AI 시대에 걸맞지 않은 시험의 내용과 방식도 문제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물론 시험 방식이 부정행위가 가능한 허점이 있다고 해도 시험에서 부정행위는 절대로 인정될 수 없다. 시험 부정행위는 비교육적이란 점에서도 용납되어서는 안 된다. 해당 과목 담당 교수는 자진 신고 학생에게 중간고사만 0점 처리하기로 했다고 한다. 이제 적극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한 AI 교육시대란 점에서 시험의 공정성을 확보할 방안이 마련되지 않으면 이런 사태는 계속 발생할 것이다.
최근 AI가 미래산업의 동력이며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AI 전성시대가 열리고 있다. 교육부는 AI 인재양성 방안을 발표하고 세부 계획을 수립했다. 혁신 융합 인재 등 다층적인 AI 인재를 양성한다는 취지다. 이를 위해 초중고 교육과정에서부터 대학에 이르기까지 AI 교과목을 개설하고 관련 입학전형도 확대할 예정이다. AI 마이스터고 설립과 AI 거점 대학도 지원할 방침이다. 결국 AI 보편교육과 인재양성이 강화되는 시점에서 이번 시험 부정 사태는 교육과 AI 간 엇박자가 존재할 것을 예견해주고 있다.
세상이 또다시 격변하는 시대에 이르렀다. AI를 사용한 부정행위가 후일 어떤 평가를 받을지 알 수 없다. 시험의 부정행위 자체는 비난 받을 일이지만 가장 최첨단 과목의 비대면 온라인 시험이었다는 점에서 선제적 대비를 하지 못한 점이 이번 사태를 초래한 측면도 있다. SNS가 보편화되면서 장단점이 극명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제 AI가 이를 대체할 날이 성큼 다가왔다. 어릴 때부터 AI를 적극 활용하며 성장할 수밖에 없는 시대에 살게 된 미래세대들이 챗GPT에 의존하지 않고 논리적으로 자기 생각을 글로 정리하고 말할 수 있는 기본적인 자질을 어떻게 키울 것인지 우려도 나오고 있다. 무조건 밀어붙인다고 될 일이 아니란 점에서 AI 교육의 속도 조절이 필요하며, 충분히 예견되는 어두운 전망을 해소할 방안도 함께 준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