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대장암 씨앗’ 선종 잘 찾을 수 있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대장암을 유발하는 혹 ‘선종’을 더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은 18일 장현주 소화기내과 교수(교신저자), 계세협·함다연 교수 연구팀이 ‘AI 보조 대장내시경의 대장선종 검출률 향상 연구’를 통해 이 같은 결과를 입증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에서 2023년 3월부터 2024년 2월까지 AI 보조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은 474명과 표준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은 474명의 검사결과를 비교했다.
분석 결과, AI 보조 대장내시경은 표준 대장내시경보다 대장선종·용종 검출률이 높고, 검사당 발견된 선종·용종의 개수가 많았다. 선종 검출률은 AI 보조 대장내시경은 36%로 표준 대장내시경 26% 대비 1.36배 향상됐다. 검사당 발견된 선종의 개수도 AI 보조 대장내시경은 0.69개로 표준 대장내시경 0.43개보다 60% 많았다.
용종 검출률은 AI 보조 대장내시경은 53.2%로 표준 대장내시경 46.2%에 비해 1.15배 향상됐고, 검사당 발견된 용종 개수는 AI 보조 대장내시경이 1.23개로 표준 대장내시경 0.93개보다 32% 많았다. 다만 용종의 위치·크기·형태·조직형 분포는 두 그룹 간 차이가 없었다.
장현주 교수는 “AI 보조 시스템은 시술자의 피로도, 숙련도 차이, 시간 압박 등 사람이 겪는 한계를 보완함으로써 대장내시경 검사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대장암 예방 효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며 “다만 대장의 점막 주름이나 잔여물로 인해 완전히 노출되지 않은 부위에서 위양성(거짓 양성) 발생 빈도가 높고, 진행성 선종 검출에서는 한계를 보여 여전히 내시경 의사의 역할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SCIE급 국제 의학저널인 ‘BMC Gastroenterology’ 10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