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매년 잇따르는데… ‘노인보호구역’ 전통시장 달랑 1곳

부천 사상자 21명 중 9명 노인층 노인 이용률 높은데 보호조치 미흡

2025-11-18     노경민
13일 오후 부천시 오정구 부천제일시장에서 A씨가 몰던 1톤 트럭이 시장내부로 돌진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사고 현장이 처참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사고로 인해 심정지 2명, 9명 중상 등 2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김경민기자

전통시장 인근의 교통사고가 매년 잇따르고 있지만, 경기도 내에서 노인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시장은 1곳뿐이어서 고령자 보행 안전이 계속 위협받고 있다.

최근 부천 시장에서 발생한 사고 역시 사상자 21명 중 9명이 노인층인 만큼 전통시장의 특성상 노인의 이용 빈도가 높아 보호 조치가 요구된다.

18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 지역에서 노인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전통시장은 광명새마을시장 1곳뿐이다. 광명새마을시장의 경우 2023년 12월 총 110m 구간이 노인보호구역으로 지정됐다.

도내 각 기초지자체들은 교통약자 관련 조례를 개정해 노인보호구역 대상에 전통시장을 추가하고 있지만, 실제로 지정까지는 난항을 겪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주차 공간 확보 어려움이다. 여타 시설에 비해 전통시장은 가뜩이나 주차 공간이 부족해 불법 주정차가 만연한 상황인데, 노인보호구역으로 지정돼 단속마저 강화되면 유동 인구가 끊길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올해 도가 실시한 노인보호구역 확대 방안 연구에서도 전통시장 지정 확대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왔으나, 정작 현장에서는 상권 침체로 이어질까 우려가 앞서는 모습이다.

13일 오후 부천시 오정구 부천제일시장에서 A씨가 몰던 1톤 트럭이 시장내부로 돌진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사고 현장이 처참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사고로 인해 심정지 2명, 9명 중상 등 2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김경민기자

노인보호구역 관련 조례를 제정한 지자체더라도 시장 상인회 측에서 보호구역 신청이 들어오지 않을 경우 선제적으로 지정이 어려운 게 현실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수차례 상인회에 노인보호구역 건의를 했지만, 주차장 이전 우려에 신청은 들어오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지자체에서 소극적인 움직임을 보이면서 국회에서는 지난 9월 전통시장을 노인보호구역 지정 대상에 포함시키는 도로교통법 개정안이 발의됐다.

하지만 이 역시 강제성이 떨어져 통과되더라도 노인보호구역 지정을 지체 자율에 맡기는 것에 대해선 변화가 없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부천시 관계자는 “이번 부천제일시장 사고를 계기로 노인보호구역 설치 검토에 들어간 상태”라며 “주정차 문제에 대한 부담이 클 수밖에 없어 경찰서와 협의를 해봐야 구체적인 장소를 지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노경민 기자


※노인보호구역은? 고령층 유동 인구가 많은 곳의 안전한 통행 환경을 조성하고자 과속 단속 및 불법 주정차 단속을 강화한 구역. 차량 통행 속도를 하향 조정하는 근거로 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