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 산단 미분양의 늪] 제한적인 경기도 지원책, 구조적 개선 시급
②입지 유인 여건 부족 여전
경기도가 경기북부 산업단지의 분양 부진 해소를 위해 두 차례 대책회의를 열고 지원책을 내놨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정책 효과에 대한 의문이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업종 확대와 분양 인센티브 강화가 제시됐지만 기업들이 실제로 이전을 결정할 만한 여건은 아직 충분하지 않다는 평가다.
19일 중부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도는 지난 9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쳐 ‘경기북부 미분양 산업단지 합동 대책회의’를 열고 동두천 국가산업단지와 연천 BIX의 분양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핵심은 업종 추가·분양 촉진책·인센티브 확대다.
도와 LH·한국산업단지공단은 동두천 국가산단의 산업시설용지 분양률을 2026년 상반기까지 23%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현재 분양률이 3%대임을 고려하면 약 20%포인트 상승이 필요하다. 이 목표는 업종 조정에 따른 신규 수요 확보에 상당 부분 의존하고 있다.
동두천시는 기존 13개 업종 외에 4개 업종을 추가하며 제조업 전반이 입주할 수 있도록 코드를 확대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코드가 맞지 않아 입주하지 못했던 기업을 대상으로 입주의향서를 확보해 국토부에 제출했다”며 “업종 조정이 완료되면 내년 상반기에는 일정 수준의 수요가 확보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업종 조정만으로는 분양률을 끌어올리기 어렵다는 지적도 지속된다.
임영주 중기중앙회 경기북부본부 부장은 “업종을 넓혀도 접근성, 인력, 물류 비용 같은 근본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입지 결정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도, 동두천·연천 분양 활성화안 추진
현장선 정주환경·인력 수급 구조 등
근본 대책 부재 입주 난망 지적
전문가 "산업 생태계·생활기반 필수
분양 촉진 중심 정책은 실효성 적어"
산업 현장에서는 정주환경·인력 수급 구조를 가장 큰 우려 요소로 꼽는다.
경기북부상공회의소 관계자는 “기업들은 지금 확장보다 생존 전략을 고민하는 상황”이라며 “인력 확보가 어렵다면 분양가와 인센티브보다 리스크가 더 크다고 판단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연천 BIX도 GH의 3차 분양 촉진책(할부이자 면제·선납할인·납부기한 연장 등)이 시행되고 있지만, 기업들의 신규 투자 결정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 입주기업 대표는 “가격 인센티브는 분명 도움이 되지만, 현재 기업들은 신규 투자 결정을 쉽게 내릴 수 있는 여건이 아니다”며 “핵심은 인력 수급과 지역 이미지”라고 말했다.
경기북부상공회의소 또한 “대부분 기업이 유지·축소 국면에 있는 경기 상황에서 파격적 유인이 없다면 신규 입주는 쉽지 않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경기도의 대책이 산단 단위 공급 중심에 치우쳐 있다고 지적한다.
조성택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외곽 지역에 기업을 유치하려면 산업 생태계와 생활 기반이 일정 수준 갖춰져야 한다”며 “분양 촉진 중심의 정책만으로는 실효성이 크지 않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산업 현장 평가도 비슷하다. 정주 인프라 부족은 기업 이전을 가로막는 대표적 요인으로 꼽힌다.
한 지역 기업인은 “주거·교통·생활 인프라가 함께 개선되지 않으면 신규 인력 채용이 어렵다”고 말했다.
경기도의 지원책은 방향성은 갖췄지만,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입지 유인’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업계는 교통·정주환경·산업 생태계 등 구조적 요인을 함께 개선하는 중장기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석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