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4천700t 버려지는데… 직매립 금지에 ‘쓰레기 대란’ 현실화

하루 1천200t 처리 공백…소각시설 역부족 현실화 성남 소각장 2027년 준공…2년 가까이 ‘무대책 공백’ 용인·안성 등 님비 갈등 격화…시설 확충 난항 민간위탁 비용 최대 1천300억…재정난 시·군 ‘이중고’

2025-11-19     이명호
내년 초부터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되면서 쓰레기 대란이 예고돼 경기도내 발빠른 추가 시설 추진이 요망되는 가운데 19일 오후 경기도내 한 쓰레기처리시설에서 관계자가 생활폐기물 처리 작업을 하고 있다. 김경민기자

내년부터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가 본격 시행되면서 경기도내 쓰레기 대란이 예상된다.

도내 공공소각시설만으로는 도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감당하기 어려워선데, 가장 빨리 확충되는 소각시설도 오는 2027년 하반기로 예정돼 있어 대란 장기화도 우려된다.

19일 중부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도에서 매일 발생하는 쓰레기 양은 4천700톤(t)이다.

그간 도에선 일일 생활폐기물을 소각과 매립, 재활용으로 대응해왔다.

그러나 정부의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조처’가 내년 1월 1일부터 본격 시행되면서, 도에선 종량제 봉투에 담긴 생활폐기물을 재활용하거나 소각한 뒤 소각재만 매립할 수 있다.

현재 도가 보유한 23곳의 공공소각장으로 처리할 수 있는 하루치 생활쓰레기 양은 3천500t에 불과하다.

매일 1천200t의 생활쓰레기가 처리되지 못한 채 남게되는 셈이다.

이에 도는 성남시를 비롯한 일부 시·군의 공공소각장 확충이 해법이 될 것으로 판단했다.

하지만 준공 시점이 가장 빠른 성남시의 경우 준공이 2027년 11월로 예정돼 있어, 내년부터 2년 가까운 기간 동안 혼란이 예고된다.

내년 초부터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되면서 쓰레기 대란이 예고돼 경기도내 발빠른 추가 시설 추진이 요망되는 가운데 19일 오후 경기도내 한 쓰레기처리시설에서 관계자가 생활폐기물 처리 작업을 하고 있다. 김경민기자

여기에다 소각시설을 반대하는 주민의 반발도 발목을 잡는다.

해당 시설이 자신의 거주지에 들어서길 반대하는 ‘님비’ 시설인 만큼, 설치 과정서 차질을 빚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용인시가 있다.

용인시는 인구 증가로 대형 소각장 증설을 추진하고 있지만, 해당 소각장과 인접한 안성시민이 반발하며 지역 간 갈등에 직면한 상태다.

1천200t을 처리하기 위한 민간 위탁 비용도 또다른 변수로 작용한다.

도는 공공소각시설 확충 전까지 미처리된 생활쓰레기를 각 시·군에 민간위탁 운영토록 당부했다.

이를 위해선 연간 최대 1천300억 원의 비용이 발생하는데, 최근 도내 시·군이 재정난을 겪고 있어 비용 부담이 커지는 실정이다.

도 관계자는 “시·군의 재정 부담을 덜기 위한 도비 지원은 아직까지 검토되지 않고 있다. 시설 확충 정상 추진을 위해 갈등 중재에 적극 대응할 예정”이라며“내년에 새로운 정책이 시행되는 만큼 혼란스러울 순 있지만, 정착이 되면 공공시설이 확충될 때까지 우려할 부분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명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