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의회, 보훈단체협·명동거리번영회와 잇단 간담회
안성시의회가 보훈단체협의회, 명동거리번영회와 잇따라 간담회를 열고 각종 현안 해결에 팔을 걷어붙였다.
23일 시의회에 따르면 안정열 의장과 정천식 부의장, 박근배·이중섭·최승혁 의원은 지난 20일 소통회의실에서 보훈단체협의회와 간담회를 가졌다.
보훈단체별 운영비 형평성 시비와 사무장(간사) 활동비 차등 지급 논란을 비롯해 보훈단체가 줄곧 제기한 문제를 청취하고 제도 개선 방향과 예산 반영 가능성을 타진하려는 취지다.
상당수 보훈단체가 일부 단체에만 운영비를 증액·배정한 데 대해 형평성 문제를 제기했고, 사무장 활동비도 실제 업무량을 반영하지 못한다며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에 안 의장은 “보훈대상자에 대한 예우는 지역이 반드시 책임지고 챙겨야 할 부분”이라며 “의회에서 제정한 관련 조례 취지를 충분히 반영하도록 집행부와 함께 개선 방향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또 시의회는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안정열 의장, 정천식 부의장, 박근배·이중섭·황윤희 의원이 참석한 가운데 명동거리번영회와 머리를 맞댔다.
명동거리를 ‘차 없는 거리’로 지정한 뒤 상권 침체가 도드라졌다는 상인들의 문제 제기를 토대로 상권 활성화 방안과 차량 통행 전환 여부를 검토하기 위한 자리였다.
번영회 측은 “차 없는 거리 지정 이후 상권 유입 인구가 크게 줄었다”며 “차량 통행을 허용해야만 접근성이 좋아져 상권이 되살아나리라 본다”고 입을 모았다. 이와 함께 옛 우체국 부지에 주차장을 조성해 달라고 강력 요청했다.
정천식 부의장은 “차 없는 거리 해제는 단순히 청원만으로 결정할 사안이 아니다”며 “차량 통행이 상권 활성화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근거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관련 연구용역을 발주할 필요성이 있다는 뜻이다.
이중섭 의원은 “주차장을 비롯한 기반시설 구축과 상권 특성에 맞는 종합대책을 병행해야 한다”며 다음 달 관련 시정질의를 준비 중이라는 사실을 공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