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 제한에 매출 감소”…배달 라이더들, ‘로드러너’ 폐지 촉구
경기도 내 일부 지역에서 배달의민족 배차 시스템이 ‘로드러너’로 변경 시행(중부일보 11월 20일 8면 보도)되고 있는 가운데 배달 라이더와 상인들이 전면 폐기를 요구하고 나섰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라이더유니온은 25일 오후 3시 서울 송파구 배달의민족 본사 앞에서 시범 운영 중인 로드러너의 전면 폐기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로드러너 시범 지역에서는 이미 라이더 등급에 따라 스케줄 배정이 이뤄지고 있고, 하위 등급의 라이더는 일하고 싶어도 배차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상위 등급 라이더들이 주문이 몰리는 스케줄을 잡으면, 하위 등급 라이더들은 수입에 직격탄을 맞게 되는 셈”이라고 직격했다.
로드러너 시범 도입에 따른 피해는 배달 라이더뿐만 아니라 가게 업주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비판도 나왔다.
이들은 “로드러너는 가게 업주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부 상점의 주문 반경을 사전 고지 없이 4→1㎞로 축소한 사례가 확인됐다”며 “주문 가능 지역이 최대 64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해 곧바로 매출 급감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배달 플랫폼 업계는 미션·등급제로 라이더의 과로를 유도해 왔는데, 로드러너가 되레 이를 더 강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배달앱을 규제할 ‘온라인플랫폼공정화법을 제정하고, 노동법 확대 적용만이 이 사태를 멈출 장치”라고 촉구했다.
올해 화성과 오산에서 시범 운영 중인 로드러너는 등급이 높은 라이더에게 근무 시간 지정 우선권이 부여돼 배달 업계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등급은 8단계로 나뉘며 시간당 배달 건수, 배차 수락률 등이 평가 기준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