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가 지난달 국가 어항 예비대상항으로 신규 지정된 대부도를 명품 해양 특화 거점 벨트로 조성한다.
안산시는 24일 오전 시청 대회의실에서 진행한 9월 정책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대부도를 안산시 발전의 초석으로 삼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대부도 방아머리항이 국가 어항으로 지정되면 지난 2008년 도내에서 최초로 국가 어항으로 지정된 화성 궁평항에 이은 두 번째로, 16년 만이다.
국가항은 대한민국에서 이용 범위가 전국적인 어항이거나 도서·벽지에 소재해 어장의 개발과 어선의 대피에 필요한 항을 의미한다. 조건은 ▶외래어선 이용이 연간 110척 이상 ▶여객선 및 유·도선 운항은 주당 14회 이상 ▶배후인구 4천명 이상 등을 만족해야 한다.
해양수산부는 선정과정에서 수산업과 더불어 문화·레저·관광·해상교통 등의 조건을 두루 갖춘 어항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중점 평가했다.
그 결과 전국 지방어항 289개, 어촌정주어항 629개 등 총 1천268개에 달하는 소규모 항포구 가운데 방아머리항을 포함한 10개항만이 예비대상항에 선정됐다.
향후 대부도 방아머리항은 지정고시를 거쳐 국가 어항으로 승격된다. 기본계획을 거쳐 사업이 확정되면 오는 2027년경 착공에 들어가 2032년까지 조성을 마칠 예정이다.
국가 어항으로 개발되면 해상으로부터 어장과의 거리가 가까워져 연료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수산물의 신선도 또한 확보돼 어민소득증대와 국민에게 보다 안전하고 신선한 먹거리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대부도 방아머리항은 수도권과의 접근성이 뛰어나 많은 관광객의 유입이 예상되고,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한 젊은 층 유입 등 귀어 인구 증가도 기대해 볼 수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안산시도 이에따라 지방 어항인 탄도항을 포함한 총 14개 어항 가운데 어촌·어항 재생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5곳(탄도·풍도·선감·행낭곡항·흘곶항)의 어항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쉼터, 관광, 해양레저 기능이 더해진 통합 개발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이를 기반으로 어촌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어촌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브리핑에 나선 김영식 대부해양본부장은 "이번 국가 어항 신규지정 예비대상항 선정을 기반으로 어촌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어촌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며 "장차 대부도가 국가, 지자체, 민간이 함께 참여하는 해양 특화 거점 벨트 지구로 내실 있게 조성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태호기자


AI기자 요약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