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인천 서구 원도심의 주차난 해소를 위해 제정된 ‘서구 주차공유 활성화 및 지원 조례’에는 ‘국민 세금이 필요한 곳에 알맞게 사용돼야 한다’는 김학엽(국민의힘·서구라) 서구의원의 의정 철학이 녹아 있다. 김 의원은 "비교적 적은 예산으로 빠른 대책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주차공유 활성화라고 생각했다"고 조례안 발의 배경을 밝혔다.
다세대·다가구 주택, 상가가 밀집돼 있는 검암경서동, 연희동, 신현원창동, 가정동, 석남동 등은 주차 공간이 부족한 서구의 대표 원도심으로 꼽힌다.
검암경서동과 연희동을 지역구로 둔 김학엽 의원은 잦은 접촉사고와 거주자-운전자 간 다툼, 인근 소상공인의 피해를 보며 이대로는 안된다고 생각했다. 물론 구청 등에 대규모 주차장을 조성하라고 목소리를 높일 수도 있었지만 당장 실현 가능한 대안이 아니었다.
김 의원은 "대규모 주차장 조성은 부지 확보부터 공사까지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고 시간도 오래 걸린다"며 "반면 주차공유 시스템 구축은 비용 대비 고효율을 낼 수 있는 경제성 있는 사업이다. 주차공유는 민간이 소유하고 있는 유휴부지를 일반 주민에 개방하는 개념으로, 필요한 사람은 민간이 제공한 사유지를 개방 주차장처럼 이용할 수 있게 된다"고 했다.
유휴부지는 개인 소유 공터뿐 아니라 교회 같은 단체·기관의 건물 주차장, 학교 운동장 등 다양한 공간이 해당된다. 서구 주차공유 활성화 및 지원 조례는 이 같은 공간을 제공하는 개인·단체에 시스템 구축비와 시설개선비, 인센티브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주차공유 시스템을 구축한 후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주차장 위치와 사용 가능 대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주차공유 플랫폼을 개발 및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김 의원은 "주차공유는 절세하면서 주민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민관 협력을 통해 사업을 추진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지자체의 대응만을 기대하는 수동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민간 또는 공공이 유휴부지를 적극 활용하고자 하는 자체가 민주주의의 실천이라는 점에서 제 가치관과 일맥상통한다"고 했다.
김 의원은 민주주의 실천와 시민 참여의 연장선에서 또 다른 조례안의 발의, 즉 현 ‘서구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의 일부 또는 전부 개정도 추진하고 있다.
그는 "원도심 주차난 해소를 위해서는 장기 주차차량에 대한 이동조치, 가족배려 주차구획 도입, 사전 판매 주차권에 대한 감면 등이 필요하다"며 "모든 주민이 골고루 누려야 하는 공공재를 한 개인이 독식하지 못하도록 해야 하며 점포에서 공영주차장을 적극 활용하도록 해 골목 등에 무분별한 주차를 막아야 한다. 그렇게 되면 보다 많은 사람이 주차장 이용에 만족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고동우기자


AI기자 요약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