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재난지역 선포 요청(피해현장)
김보라 안성시장이 최근 폭설로 심각한 피해를 입은 지역을 방문해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안성시청

안성시가 관내 폭설 피해에 대한 신속 복구 및 지원을 위해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건의했다고 밝혔다. 안성시의회도 안성시를 조속히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할 것을 촉구하는 건의서를 채택했다.

5일 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28일까지 내린 대규모 폭설로 안성시는 자체 실측 적설량이 평균 60.53cm를 기록했으며, 이날 기준 공공시설 18곳과 사유시설 4천131곳 등이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총 피해액 규모는 95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특별재난지역 선포는 지자체별 재정력 지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안성시의 경우 특별재난지역 선포 기준인 122억5천만 원을 훌쩍 넘겨 선포 요건을 충족한 상태다.

특히 시는 이번 폭설로 시설하우스와 포도비가림, 인삼재배시설 등 농업시설을 비롯해 소와 돼지 등을 키우는 축산시설이 집중적으로 피해를 입어 농민들의 생계유지와 일상생활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폭설 피해와 관련된 지속적인 신고 및 조사가 이어지는 가운데 추가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으로 전체 피해액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김보라 시장은 "유례 없는 폭설로 관내 전역에서 피해가 발생해 복구 작업에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시 차원의 재정 및 행정적 역량을 초과한 상황이며 폭설 피해를 신속하게 수습하고 시민들의 빠른 일상 복귀를 위해 어느 때보다 국가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최호섭 의원은 촉구 건의안 제안 설명을 통해 "피해 현장은 무너진 시설물과 죽은 가축 등이 엉겨 전쟁터를 방불케 하고 있다. 시설농업은 당장 철거를 하고 붕괴된 시설물 아래 작물들을 건져야 하지만 인력이 부족해 피해 입은 시설농업과 축산업은 내년 농사가 가능할지 알 수 없게 된 상황"이라며 "물가, 자재비 및 인건비 상승, 높은 금리 등으로 가뜩이나 힘든 농민들을 위해 정부와 행정은 피해 수습과 조속한 복구를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면 지자체 복구비의 일부를 국고로 추가 지원받게 되며 건강보험료 경감, 통신·전기료 감면 등 15개 항목을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다.

류제현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