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진(더불어민주당·서구가) 인천 서구의회 기획행정위원장이 1일 열린 제1차 기획행정위원회에서 2024년 행정사무감사 조치 결과를 점검하며 ‘제3연륙교 명칭 선정 공모 지연’과 관련한 집행부 미흡한 대응을 강하게 질타했다.
김 위원장은 "2025년 1월 15일 자 언론보도에서 마치 서구청이 제3연륙교 명칭 공모 연기를 요청한 것처럼 서술돼 있다"며 "이는 사실과 다르게 서구청 명칭 변경이 교량 명칭 선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오해를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구청 측은 이에 대해 "서구청이 명칭 공모 지연을 요청한 적은 없다. 인천시에서 정책적 판단 하에 연기를 지시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 "파급 효과를 고려해 반박 보도를 내지 않았을 뿐 서구 명칭과 제3연륙교 명칭은 별개의 사안이고, 청라대교 명칭은 주민의 당연한 요구로 추진되는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김 위원장은 "사전 모니터링이 부실했고, 오보 이후 출처 확인이나 정정 요청 등 실질적인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이러한 소극적 대응은 주민들 사이에서 ‘청라대교 명칭은 구 명칭 변경을 전제로 한다’는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주민선호도 조사 준비가 미흡한 점도 함께 지적했다.
그는 "행정사무감사 이후 수개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조사 시기와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마련되지 않은 것은 무책임한 일"이라며 "주민들의 기대와 관심이 집중된 사안인 만큼 더 명확한 계획 수립과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청라 주민들이 직접 비용을 부담하고 참여해 건설되는 제3연륙교에 ‘청라대교’라는 명칭을 부여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럽고 타당한 일"이라며 "서구가 인천시에 제출할 두 가지 명칭 모두에 ‘청라’가 반드시 포함될 수 있도록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김 위원장은 또 새롭게 추진 중인 ‘서울도시철도 9호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 직결 용역’ 결과에 대한 부서의 대응 방안도 질의했다.
구청 측은 이에 대해 "용역을 통해 도출되는 BC값(편익 대비 비용 비율)과 무관하게 인천시는 해당 사업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라며 "공항철도 직결은 단순한 경제성의 문제가 아니라, 주민과의 신뢰 문제고, 반드시 추진돼야 할 과제"라고 힘을 실었다.
김 위원장은 "공항철도 직결은 검암경서동을 포함한 서구 주민들의 숙원사업"이라며 "더 이상의 지연은 안 된다. 반드시 가시적인 추진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기주 기자


AI기자 요약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