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시흥시의회에서 열린 ‘시흥시 공설동물장묘시설 설치 및 운영 조례 제정 간담회’에 참석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시흥시의회
지난 10일 시흥시의회에서 열린 ‘시흥시 공설동물장묘시설 설치 및 운영 조례 제정 간담회’에 참석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시흥시의회

시흥시가 공설 동물장묘시설 설치를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

14일 시흥시에 따르면 시흥 지역에는 현재 반려동물 장묘시설이 없어 시민들은 반려동물을 떠나보낸 뒤 인근 안산시의 이동식 장례서비스 ‘펫콤’ 등 외부 민간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불법 매장 등 비공식적인 방식에 의존하는 불편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시흥시의회는 지난 10일 ‘시흥시 공설동물장묘시설 설치 및 운영 조례’ 제정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하고 시설 설치 필요성과 운영 방향에 대해 관계기관 및 단체와 의견을 나눴다.

간담회에는 조례 대표발의자인 이봉관 의원과 시흥시 동물축산과, 수의사회 시흥지부, 명예동물보호관, 동네고양이 보호협회 등 14명이 참석했다.

시 관계자는 이날 간담회에서 "개발제한구역이 많은 시흥의 특성상, 공공이 주도해 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공공성 확보를 위한 운영 기준과 함께 자원봉사 단체 대상 요금 감면, 수분장 등 다양한 장묘 방식 도입 등 현실적인 운영방안도 함께 논의했다.

지난 10일 개최한 ‘시흥시 공설동물장묘시설 설치 및 운영 조례 제정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조례 추진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사진=시흥시의회
지난 10일 개최한 ‘시흥시 공설동물장묘시설 설치 및 운영 조례 제정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조례 추진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사진=시흥시의회

특히 전북 임실군의 ‘오수 펫추모공원’ 사례를 참고해, 공공시설로서의 지속 가능성과 주민 수용성을 함께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오수 펫추모공원’은 지난 2021년 전국 최초로 문을 연 공공 반려동물 장묘시설로, 화장뿐 아니라 추모 공간까지 함께 운영되는 통합형 시설이다. 초기에는 지역 반발 우려도 있었지만 입지 선정과 운영 기준을 투명하게 마련해 안정적인 정착에 성공했으며, 현재는 동물복지 향상과 장묘문화 개선을 실현한 대표적 공공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이봉관 의원은 "조례 제정은 타당성 용역, 국·도비 예산 확보 등 후속 행정 절차의 시작점"이라며 "시설의 위치와 규모는 향후 용역 결과와 부서 협의를 통해 구체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의회는 간담회에서 수렴된 의견을 바탕으로 조례안을 정비하고, 시민 공감과 실효성을 갖춘 제도 마련을 통해 시흥시형 공공 반려동물 장묘시설 도입에 본격 나설 계획이다.

김명철·손용현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